November 13, 2012
원시청정-- 견해(2)
원인승의 견해 중에서 가장 수승한 것은 귀류논증 중관학파의 견해이다...
나가르쥬나가 가르친 귀류논증과 찬드라끼르띠가 가르친 귀류논증 사이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 차이는 무엇인가?
찬드라끼르띠는 공성의 측면을 강조하였고..
모든 것은 일체 자성이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는 다르마다뚜(법성)의 견해를 가르쳤다..
반면 나가르쥬나는 현상과 공성의 결합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찬드라끼르띠의 가르침이 말하는 공성에 상반되는 것은 아니다...
찬드라끼르띠는 공성을 강조하고...나가르쥬나는 현상을 강조한다...
우리는 그것을 통해 두 요소의 상호불가분성(현공불이)을 이해하게 된다...
찬드라끼르띠의 견해.. 중론을 포함한 나가르쥬나의 여섯가지 저작에 있는 견해는
부처님의 세가지 법륜 가운데..이전법륜을 드러낸다...
나가르쥬나는 두번째 부처님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부처님의 견해를 모두 설명하는 저작들을 남겼다...
인도의 6장엄과 2지존은...
나가르쥬나의 논서와 부처님의 가르침 사이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나가르쥬나의 논서는 부처님의 세 가지 법륜을 모두 다룬다..
보행왕정론을 포함한 일곱가지 땀쪽(교훈집)은 초전법륜을...
중론..회쟁론을 포함한 여섯가지 논증은 이전법륜을..
네가지 찬가로 구성된 예찬은 삼전법륜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속전(Tantra)인 구햐싸마자에 대한 주해도 남겼다...
이와같이... 7보장과 같은 변지`롱첸랍잠의 저술을 보면...
모든 가르침의 모든 형태가 빠짐없이 발견된다...
7보장에는 부처님의 8만4천법문이 있고..
3백 6십가지 외도의 견해가 있고...
족첸의 원시청정과 자재광의 무분별로 결론을 내린다...
7보장에는 이 모든 것이 담겨있다..
3백 6십가지 외도의 가르침은 불법에 속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을 모른다면.. 외도의 견해와... 불법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할 것이다...
네가지 극단과 중관을 구분하지 못할 것이다...
네가지 극단에 떨어지지 않을 때.. 우리는 중관의 궁극적인 견해를 알 수 있고...
나아가..족첸의 견해를 이해할 수 있다...
닝마의 대스승 중에.. 롱솜 빤디따(Rongzom Pandita)라는 분이 계셨다...
아띠샤께서.. 인도의 대성취자 크리시나차리야의 환생자라고 지목했던 인물이다..
그는 주로 원시청정의 대공성을 수행하고 가르쳤다...
그의 가르침은 거의 공성의 측면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리가 ``롱(Rong) 롱(Long)``이라 말하면...
변지 롱솜 빤디따와 롱첸랍잠을 가리키는 것이다...
닝마전승의 하늘에 떠있는 해와 달 같다...
롱첸랍잠은 현상과 공성의 결합을 주로 얘기했다...
세가지 법륜과 경전과 속전 전체에서..
롱첸랍잠의 7보장과 나가르쥬나의 가르침에 있는 견해는 서로 일치하여 구분이 안된다...
구분이 안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롱첸빠를 이렇게 평가한다...
``님의 마음은
잠부디빠의 6장엄과 2지존이 얻은 자비와 학식과 깨달음 전부를 갖추셨습니다...``
롱첸랍잠이라하는 사람은 티벳에 태어나서...경전과 속전..그 외의 학문에 통달하였다...
그는 싸라스와띠와 따라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전수받았고..
족첸의 가르침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그는 비말라미뜨라의 환생자이다...
지금...족첸의 궁극적인 견해는 롱첸랍잠이라는 이름을 통해 지적되고 있다..
롱첸이라는 말을 통해 원시청정을 이해하고...
랍잠이라는 말을 통해 자재광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서 견해는 롱첸랍잠이다..라고 말할 때..이것은 족첸의 견해를 가리키는 것이며..
원시청정과 자재광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둘의 결합은... 부처의 법신과 색신의 결합을 의미한다...
스승의 구결이 말하는 궁극적인 견해는 롱첸랍잠이다..
그 견해는 외부에 있는 어떤것이 아니다...
견해가 외부에 있는 것이라면.. 안에있는 무명을 잘라낼 수 없을 것이다...
바로 이 근본 성품..여래장을 닦는 것이 명상이다...
명상은 무엇과 같은가?
공성.. 어떤 현상적인 모습도 없는 성품을 아는 것이....지식이다.
이러한 지식을 통해.. 내재된 텅빈 성품을 자각할 때.. 자비를 구할 필요가 없다...
대자비는..텅빈 본성속에 이미 편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통받는 자를 향해 비심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비심은 고통을 보아야지만 일어난다... 고통을 보지않으면 일어나지 않는다...
근본적으로.. 자비는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자비는 본래부터 갖추어져있고 모든 사물에 깃들어있기 때문이다..
자비는 자발적이다..
그것은 모든 것을 향해 그냥 일어난다...
공성의 자각속에서
중생이 무명에 빠져있다는 것을 알면...
어떤것이 효과적인 방법인지도 알게 된다...
공성의 자각속에서 어떻게 해줄지를 아는 것과 자비는 다르지 않다...
이름만 다를 뿐이다...
``명상은 켄쩨 외쎄르이다...``
공성과 자비의 무분별을 이해하고 체득하였을 때...진정으로 공성을 자각하게 된다...
견도에 들었을 때...여래장의 근본성품을 비로서 깨닫기 시작한다...
그때부터 깨달음이 크게 자라게 된다..
그러한 자각을 가지고 있을 때...궁극적인보리심이 안에서 자라나게 된다...
그 보리심이 자라났을 때...사람은 중생의 마음과 부처의 마음이 하나라는 것을 안다..
이것을 자각한 명상수행자가...비민의 마음으로 가득해서...
아직 그것을 깨닫지 못한 모든 중생을...부처의 경지에 이끌어주려 할 때...
그가 행하는 것이 무엇이든...
눈을 깜박이거나 팔을 펴고 굽히는 것마저도...중생을 돕는 것이 될 것이다...
중생을 돕기도 했다...안했다 하는 그런식이 아니다...
자연스럽게 자발적으로 그 일이 일어난다...
타이밍이 너무 이르거나 늦는 법도 없다...
말한 그대로다...
그러한 상태에 있을 때... 보살의 행위는 완성되는 법이다...
``행위는 승리자의 아들..갤외 뉴구이다...``
처음에는.. 견해.. 명상,.. 행위가 이해되어야 한다...
중간에는 그것이 수행되어야 한다..
나중에는 그 수행의 열매로.. 몸과 말과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견해..명상..행위가 이름은 달라도...본질적으로는 하나이다...
어느 누구의 마음 속에서도 그것은 나뉠 수 없다..
누구가가 공성을 자각하면...
한 생에 부처에 도달하리라는 것에 대해.. 조금도 의심하지 않게된다...
어떤 가르침이 완벽하게 의심을 넘어선 견해를 가지고 있을까?
그것은 족첸의 가르침이다...
어떻게해서..족첸의 견해 한조각을 깨달았다고 모든 존재가 먼지처럼 사라질 수 있을까?
공성을 깨달으면... 사람은 세속팔풍에 거의 관여하지 않는다..
거기엔 희망이랄 것도 염려랄 것도 없다...
공성의 견해를 조금만 깨달아도...
사람의 마음은 세속적인 방일에 빠지지 않을 것이다..
방일이란...대양에 이는 거친 파도와 같은 것이다....
점차적으로 결코 흔들리지 않는 그 본성에 적응이 되아야만 한다..
예를들면...1지에 도달한 보살은..원하기만 하면...
7일 안에 부처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한다...
...상사라가 텅 비워졌을 때 부처에 도달하기로 맘 먹을 수도 있다...
사람이 공성의 궁극적인 견해를 깨닫기 시작할 때...그렇게 할 수가 있다...
공성의 견해를 충분히 깨달을 때..
상사라의 현상속에서 고의 진리를 실제로 보게되더라도...
그것은 그저 실체가 비어있는 홀로그램과 같은 것이다..
비유를 하자면.. 그것은 무지개와 같다...
그게 하늘에 나타나든 나타나지 않든...좋아한다거나 싫어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다...
상사라와 니르바나에 있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더라도..
개의치 않을 것이고..편안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한 상태에 편안히 머무르는 것을...
족첸의 견해 속에서 근심걱정없이.. 편안하게 머무르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내면에서 편안한 기쁨을 느낄 것이다..
그러한 상태에서.. 사람은 상대적으로만 진실인 무명의 모습과..
무명에서 벗어난 궁극적인 진리가 어울려 놀고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세 구절은..정곡을 찌르는 세 마디 말 속에 있는 세 마디 말이다...
견해를 깨닫는 방법과 관련하여....
원인승에서는..위에서 설명했던것처럼...
학자는 부처님의 가르침의 견해를 받아들여.. 그것을 논리적으로 분석을 한다...
그들은 인용과 논증을 통해 그것을 이해한다...
한번 이해를 하게되면... 궁극적인 본성에 대한 견해를 깨닫게 된다...
그러므로...부처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가르침을 받았으면.. 그것을 듣고...되새기고.. 명상해야만 한다...
처음에는...아직 들어보지 못한 것에 귀기울이고...
중간에는...이해될때까지..들은것의 의미를 깊이 사유해야 하며...
마지막엔...명상을 통해.. 사유한 바가 의미하는 것을 수행해야 한다...
그렇지만.. 원인승과는 다르게...
인용과 논증으로는 족첸의 견해를 명료하게 할 수 없다...
족첸의 견해에 확신을 얻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분석적 명상을 하는 학자의 길...
모든 것을 있는그대로 내버려 두는 은자의 길....
학자의 길에서는..
인용과 논증과 구결을 통해 족첸가르침의 의미에 대해 확신을 얻을 수 있다...
구결은...롱첸랍잠의 7보장에서.. 한부분은 폭넓게 설명되어 있고...
다른 한부분은 깊이있게 설명되어있다...
이렇게 하는 것이 분석적명상을 하는 학자의 길이다...
있는그대로 모든 것을 내버려두는 은자의 길을 위해...
비마닝틱...칸도닝틱과 같은 족첸의 핵심구결이 있다...
이와같은 명상 핵심구결이 수행될 수 있도록...살아있는 체험에서 나온 말이 주어진다...
다섯가지 학문에 관한 지식이 없더라도...
이 구결을 절대적 믿음을 가지고 적용한다면...성취를 얻을 것이다...
족첸은 가장 깊고.. 가장 광대한 가르침이므로...즉시..번뇌의 어둠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스승이 부처님으로 보이거나..법신 자체로 보인다면...족첸의 견해를 깨달을 것이다...
그것이 있는 그대로 모든 것을 내버려 두는 은자의 길이다...
이러한 오탁악세에는...수명이 짧고...질병은 늘어난다...
정진의 힘은 약하고...쉽게 흔들리며...세속잡사에 매달리게 된다...
그러므로.. 최상의 구결 중의 핵심인 이것...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말...
천신마저도 되살릴수 있는 감로법문이 설해졌으니.....
그 의미는 명상을 통해 체험될 것이고...
다양한 극단을 가진 견해들은 모두 분석하지 않아도 된다...
명상을 수행할 때는..견해의 의미에 익숙해져야 한다..
이러한 견해는 어디에 있는가?
극단에서 벗어난 궁극적인 견해는.. 멀리있는 것이나 광경같은 것이 아니어서..
바깥쪽을 바라볼 필요가 없다...
미혹된 현재 마음을 알아차릴 때...견해는 원시청정의 대공성으로 본래부터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본연의 상태로 놓아두어라..
마음의 본성을 바라볼 때...
우리는 상념이라는 미혹의 파도에 떠밀려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과거의 습관을 따르고..미래에 대한 생각을 따르느라..이 순간의 자각을 놓치고 있다..
어떻게 해야.. 이 미혹의 파도를 멈추겠는가?
무명의 파도가 일어날 때...견해의 핵심을 알고있다면...
사변적인 학습을 많이 할 필요가 없다..
견해를 깨닫기 위해...공덕을 쌓거나 장애를 없앨 필요도 없다...
우리는 무명의 파도가 견해를 가리고있다는 것을 알아차려야 한다...
무명의 파도를 살필줄 안다면...그것은 하늘에 걸린 무지개나.. 신기루에 지나지 않으며..
비롯된 원인도 없고... 차지한 공간도 없으니...사라질 것도 없다..
핵심구결이 가지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명상을 통해 견해를 깨닫고자 한다면...
그리 많은 것이 필요치 않다...
왜 그럴까?
무명의 파도에 휩쓸려 있는동안...
본연의 마음상태에 집중하면서 강하게 `팻~!`하고 소리지르면..상념은 흩어지게 될 것이다..
수미산만큼이나 큰 모래더미라도.. 태풍을 맞으면 금새 흩어지고 말 것이다...
`팻~!`하고 소리 지르는 것은 그와 같다...
그렇게 소리지른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지혜와 방편이 결합된 지혜를 의미한다..
그것은 숲 전체를 베어내는 날카로운 도구와 같다...
무엇을 잘라내는가?
과거의 무지 뒤에는 또 다른 무지가 있다...
그리고 그 뒤에는 또다른 무지가 이어지고 있다...
그것은 염주에 꿰어진 염주알과 같아서...
줄이 끊어지면.. 염주알은 모두 흩어지고 말 것이다...
마찬가지로... 미혹된 상념에다가 팻~!하고 소리지르면...
미혹된 상념은 끊어져 흩어지게 된다..
그 때.. 그대로 드러난 본연의 그 상태를 들여다 보라...
마음은 모습도 색깔도 질료도 없지만...
어떤 인식이 본성에서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꾸밈이 없는 본연의 상태에 머무는 것이 `견해는 롱첸랍잠이다`라는 말이 의미하는 것이다..
무명의 파도를 잘라내기 위해...
강력하고 짧고 날카롭게 팻~!하는 소리를 질러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는 상대적 진리의 거짓말에 속고있다...
그 거짓말은 팻~!으로 잘라낼 수 있다..
그것은 자체 발광하는 지혜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러한 본성을 자각했을 때...
`오호라..이것이 바로 꾸밈이 없는 법성의 모습이구나~`하고 생각할 것이다...
이러한 본성에서 올라오는 현상.. 즉 상념은 아이들이 노는 모습과 같다...
`무명이란 바로 이런 것이야~~`하고 생각할 것이다...
이렇게 답이 풀리는데... 이것을 두고 견해라 하는 것이다...
이것이 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중 첫번째 정곡이다...
명상체험을 통해 견해의 본연의 모습이 드러나게 하려면...
과거의 생각을 따라서도 안되고...미래의 생각을 일으켜서도 안된다...
마음의 동요없이...지금이순간의 마음에 머물러야 한다...
자신의 생각이 신심이나 헌신..자비와 같은 것인지...
탐욕이나 분노..무지에 속한 것인지 생각할 것 없이...
꾸밈이 없는 본연의 상태에 머무르도록 놓아두어야 한다...
흙탕물은 휘저으면 맑아질 수 없다...
그러나 있는그대로 내버려두면...맑아질 것이다...
꾸밈없는 마음이 충분히 각성되면... 꾸미는 마음은 일어나지 않는다..
마음이 일체 함이없이 머무를 때...
마음의 본연의 상태가 감각적 대상으로 인지될 수는 없다하더라도...
이게 바로 그거야~라고 말할수는 있다..
하나의 대상으로 붙잡을 수는 없을지라도... 이리저리 궁리하지만 않는다면..
마음의 본연의 모습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자각의 상태로 꾸미려는 노력없이 머무른다면...
그러한 자각은 좀 더 분명해지고...미혹된 마음은 이윽고 사라질 것이다...
그때 근본스승에 대한 신심과 헌신의 도움을 받아...마음의 본성을 깨닫게 될 것이다..
본성을 자각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자기 안에 있는 견해가 자신에게 드러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승의 가피로.. 저 어디에선가 불쑥 생겨나는 그런 류의 것이 아니다...
전에는 없었는데...새로 얻게되는 그런 류의 것이 아니다...
자신 안에 존재하는 이러한 보석을 알아차린다는 것은..
자기 집 마루 밑에서.. 숨겨진 보물을 발견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궁핍함이 사라졌다고 확신하게 해줄 것이다...
본성을 자각하는 그러한 상태에 머무는 것..
이것은 족첸의 견해를 간결하게 드러내는 말이다...
그러므로...그러한 상태로 인위적인 노력없이 머물러야만 한다...
November 1, 2012
원시청정-- 견해
세 마디 말 중 첫 마디는 견해이다..
견해를 얻지못하면... 명상도 행위도 있을 수 없다..
견해를 가진자는 핵심적인 자산를 가진 자와 같다... 어마한 금이나 다이아몬드같은...
세상에서 하고싶은 것은 무엇이든 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 재산도 없는 거지는 부자가 되는 상상만 해 볼 뿐이지..
실제로 부를 누리지는 못한다...
그래서.. 바른 견해를 갖지 않는 이상... 일체지의 경지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눈이 없으면...귀가 있고..혀..코..등이 다 있어도 소용이 없다...
견해는 눈과 같다...
오류없이 깨달은것이 아니고... 단지 상상하기만 하는 것은
견성과 성불의 길에 들어서게 할 수 없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수행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기는 쉽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것은 견해가 아니다...
수행을 통해...나은 존재가 될 수는 있다...
그러나 견해를 얻으면... 구경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
구경의 경지란 일체지를 말하는 것이다...
일체지에 도달하는 것은 견해를 아는 것에 있다...
견해를 획득하게 하려고...
부처님은 여러 수준의 견해를 제시하셨다...
성문승에서...아띠승에 이르기까지 말이다..
부처님께서 이 모든 견해를 제시했다고 해도...
각자는.. 이러한 견해들을 조사해보아야 한다...
광대한지 아닌지... 깊은지 아닌지...구경의 견해인지 아닌지를 말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사해봄으로서...궁극적인 견해가 무엇이지를 찾아보면...
족첸이 그 답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족첸의 궁극적인 견해는 부처님의 명상을 통해 얻는 지혜이다...
싸꺄 빤디따께서 말씀하셨다..
``아띠요가의 견해는 가르침의 차제에서 얻는 결과가 아니다..
이것은 지적인 작업을 통해 얻어지는 견해가 아니다...``
이것은 도과...부처님의 지혜를 바로 깨닫는 것이며..
고귀한자..보살이 자기 스스로 알아차리는 지혜를 통해 알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스스로 알아차리는 지혜의 세계라 알려져있다.
세존.. 석가모니 부처님은 보리수 아래서 깨달음을 얻으신 뒤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는 감로와 같은 다르마를 찾아냈으니..
매우 깊고..개념을 초월해있고.. 어떤 조건에 의해 비롯되는 것도 아니다..
내가 그것을 보여주더라도...이해할 수가 없을 것이니...
나는 그저.. 숲으로들어가 아무 말없이 살아가리라...
글이나 말로 표현될 수 없다는 것을 아시고는..
부처님은 명상의 길을 보여주셨다...
그 가운데 견해에 관한 부분은...족첸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족첸의 견해는 언어를 넘어서 있다...
그것은 말로 지적할 수가 없으며..
마음의 작용 범위를 넘어서 있다...
이것은 조금도..문자로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족첸만 그런 것이 아니다...
반야바라밀도 말과 생각과 표현을 넘어서있다고 말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것을 말로 표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수승한 방편을 써서... 자비심에서...
부처님은 하늘에 빗대어 견해의 텅 비어있는 성품을 이야기 하셨고..
태양과 달에 빗대어 명징한 성품을 이야기 하셨고..
햇빛과 달빛에 빗대어 상사라 열반 전체에 편만해있는 성품을 이야기 하였다...
이러한 비유를 요약하면...
견해는 바른 문사수(聞思修)의 목적이다...
들음으로 견해가 이해되고...
사유함으로 체험이 일어난다...
명상을하면.. 견해는 점차 오류에서 벗어난다..
그렇게 하지않고 덮어놓고..``이것이 견해다.``라고 생각하면...그걸로는 충분하지 않다...
부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금은 달구어서 깍아내고 문질러야하는 것처럼...
나의 가르침은 잘 따져보아야만 할 것이다..
공경한다는 이유로.. 그냥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인용을 하고 논리를 적용하여 분석해볼수록..
심오하고 광대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그 가르침을 더욱더 신뢰하고 확신하지 않을수가 없게 된다..
그와는 달리...다른 승의 견해나... 외도의 견해...특히 기독교의 견해는
아무리 애써 설명한다 하더라도.. 더 심오해지거나 광대해지지 않는다...
다른 견해는 이런식으로 한다고해도 심오해지지 않는다...
모든 견해는 그 깊이를 따져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족첸의 가르침이 불교의 궁극적인 견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9부승의 나머지 여덟가지 견해는 족첸의 견해와 다른 것을 가르치는 것일까?
어느 하나도 그렇지 않다..
첫번째로.. 성문승의 견해...무상에 바탕을 둔 고통의 진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여기서 말하는 무상은 공성의 측면과 관련되어 있다..
공성의 특성은 족첸에서.. 분명하게 자세하고 완벽하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성문승이 공성의 원리를 전혀 가르치지않는다는 표현은 맞지가 않다...
가르치지 않는다는게 사실이라면...
성문승은 번뇌를 제거할 수가 없을 것이다...
공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공성에 관한 좀 더 세밀한 가르침을 받아야 한다...
절반을 이해하는 사람은 절반만 가르치고...
조금밖에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조금만 가르쳐야 한다...
이렇게하다보면...점차적으로 궁극적인 견해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동에서 오는 사람.. 남에서 오는 사람..서에서 오는 사람.. 북에서 오는 사람이 있다..
어떤 사람은 걸어서 오고.. 어떤 사람은 말을 타고 오고..
어떤 사람은 차를 타고 오고..어떤 사람은 비행기를 타고 온다..
모두 같은 장소에 도착하지만... 도착하는 속도는 다르다...
속도는 견해에 달려있다..
견해가 바르게 자리잡아야 한다...
그러면...명상과 행위가 견해확립을 도울 것이다..
견해가 바로 자리잡으면.. 명상과 행위는 큰 어려움 없이 진척될 것이다...
어떤 말은...근본스승의 견해가 의미하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들어..쌍게라는 말이 있다...
그것을 붓다를 티벳말로 옮긴 것이다...
쌍은 깨어남..무명의 잠에서 깨어나는 것을 의미하고...
계는 피어남..모든 사물에 대한 두가지 지식의 지혜가 연꽃처럼 피어남을 의미한다...
이 두 음절은...두가지 장애를 버리는 것과...부처의 깨달음을 얻는 것을 가리킨다...
게다가...10지에 오른 보살은 사상을 초월하는 지혜의 공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두가지 버리는 것과 두가지 얻는 것에 포함되지 않는 공덕은 어디에도 없다...
같은 방식으로...족첸의 견해는 이와같이 설명된다...
견해는 롱첸 랍잠이다...
가리키고있는 사실과 관련하여... 롱이란 무엇인가...?
이것은..네가지 착시...네가지 극단을 소멸시키는 견해...즉 롱첸랍잠을 의미한다...
이것은 족첸의 진정한 의미를 완전히 깨닫는 것.. 궁극적인 깨달음이다...
이름과 관련하여...
싸만따바드라의 깨달음...6백4십만 족첸딴뜨라의 지혜를 체계화시킨자는 변지 롱첸랍잠이다...
이름과 가르침이 하나가 된 것이다...
사람과 가르침이 하나가 되면..
그 사람이 족첸이고..그가 가르친 가르침도 족첸이다...
어째서 그 가르침이 체계화되었는가?
가르침의 광대한 의미는 성현의 마음의 세계에 속한 것이어서..
속인이 언변으로 풀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최상의 수행은.. 구루의 전수에 의지하는 것이다...
스승의 요결은...수행하기 쉽고..별 어려움없이 이해가 가능하다...
부처님의 견해를 깨닫는 가장 쉬운 길은.. 요결에 의지하는 것이다...
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말에 대한 요결은...
견해는 롱첸랍잠이다..라는 말로 시작된다...
견해는 롱첸랍잠이다..라는 이 말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 견해를 지적하고 있는 스승은...변지 롱첸랍잠이다...
변지 롱첸랍잠은...족첸의 세가지 형태가 가진 견해를 완전히 이해하였다...
그래서 그는 제자들을 위해...일곱가지 보장(죄뒨)..자휴식 3부론(~ㄹ알소꼬르숨)..
자해탈 3부론(랑될 꼬르숨)을 저술하였다..
이것은 언어로 설명된 가르침이다...
변지 롱첸랍잠은.. 그의 지혜 마음을 떼르첸 라뜨나 링빠... 오르겐 떼르닥 링빠..
라쮠 남카직메...릭진 직메링빠...잠양켄쩨왕뽀...잠괸꽁뛸로되타예.. 잠양 켄쩨 최끼로되..에게 전수하였다...
그가 그의 마음의 가피를 이들에게 전했기 때문에...
그들은 승리자의 마음전승을 이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가 승리자의 마음전승이 지닌 구경의 의미를 배웠을 때...
지명 직메링빠는 롱첸랍잠이 주는 세가지 계시를 체험하였다...
첫번째로...그는 육신의 가피를 받았다..
두번째로.. 그는 언어의 가피를 받았다..
세번째로.. 그는 마음의 가피를 받았다...
변지 롱첸랍잠은 여래처럼 매우 아름답고..평화로운 인도 빤디따의 모습으로 나타나...
이러한 육신..언어..마음의 가피를 전수하였다..
직메링빠의 첫번째 계시에서... 롱첸랍잠은 다소 늙은 모습이었다...
두번째 계시에서...롱첸랍잠은 그에게 7보장의 숨은 의미를 담고있는 책을 건네주었다...
롱첸랍잠이 그책이 무슨 내용인지를 말하고 있을 때...
롱첸랍잠은 자신의 심상속을 직메링빠에게 건네주었다..
이것은 외적인 스승이 의미하는 게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내적인 스승과 관련해서는...
세번째 계시가 있은 뒤에.. 직메링빠는 자체에서 드러난 족첸의 견해..롱첸랍잠은..
외적인 빤디따가 아님을 깨달았다...
내적인 자각의 본성이...롱첸랍잠이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그 자각이 강하다면... 장애는 소멸하고..청정한 바탕이 드러날 것이다...
한꺼번에.. 롱첸랍잠에 대한 깨달음을 가르치고 싶다면...그렇게 할수도 있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구경의 깨달음이다...
족첸의 견해는... 가리키고자 하는 측면을 가지고 설명되어야 한다...
변지 직메링빠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의 마음이 바람직한 모습을 취할 때... 스승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마음이 바람직한 모습을 취하고.. 그 안에 다르마가 자리잡고있다면..
스승은 외부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우리들에게 관정을 주고.. 구전을 하고.. 구결을 전하는 스승..
우리가 보는 모습이나.. 듣는 목소리..장애에서 벗어나게 하는 이 스승들은...모두 외적인 스승들이며..
내적인 스승과 교감하는 도구로서 역할을 한다...
이 스승들은...관정을 주고.. 구전을 하고.. 구결을 전하고.. 성불의 길을 지적해주므로..
우리는 그들이 말하는 것에 귀 기울여야 한다...
우리가 가르침을 듣고.. 되새기고.. 명상한다면...
실제로 자기 안에 내재된 본성인..불성을 깨닫는 날이 올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깨달을 때...우리에게 다르마를 가르쳐 준 스승은
더 이상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안에 있게 될 것이다...
어디가 안인가?
구루는 마음의 본성이다...
우리가 한번 마음의 본성을 깨달으면... 바깥에서 스승을 찾을 필요가 없어진다..
마음의 견해가..명상속에서도 명상을 멈춘 일상의 순간에서도 유지된다면...
스승은 오고 감을 초월하여 항상 존재할 것이다...
외적인 스승이 요결을 드러낼 때..
족첸의 견해..명상..행위의 정곡에 점차 접근하게 된다...
세가지 핵심가운데.. 견해를 지적하려면..롱첸이 의미하는 바를 말할 필요가 있다..
롱..은 광대함을 의미한다..
거리개념으로 공간을 계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공간은 광대하고.. 그 특성은 비어있다..
무한하게 넓고...특성이 없으므로... 공간은 견해를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그 안에는.. 그 안에 담겨있는 세상이 있다..
이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세상은 그 바탕이 무엇인가?
그 바탕은 비어있는 공간이다.. 그것 말고는 다른 것이 없다...
이 때... 공간과 세상을 담고있는 그 내용물이 같은 것인가라고 묻는다면...
그 대답은 전혀 같은 것이 아니다..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각각의 특성을 구분하든 하지않든...
공간은 그 모든 것의 바탕이다...
세상과... 세상을 채우고 있는 현상은 그 바탕이 공간이다...
이처럼 생각하면서..
우리는 롱첸이라는 단어를 뭔가 광대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롱은 무엇인가?
족첸에 따르면... 그것은 견해의 비어있는 특성.. 원시청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럼 랍잠은 무엇인가?
그것은... 한량없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잠부디빠(남섬부주)에 있는 모든 숲의 나무를 헤아리려 한다치자...
평생 공을 들인다하더라도...셈을 마칠수가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상사라..니르바나의 현상은...
바탕으로... 원시청정의 텅빈 본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안에 존재하는 스깐다(온).. 다뚜(계)..아야따나(처)와 같은 상사라적 현상..
까야(신).. 갸나(지)와 같은 니르바나적 현상은.. 랍잠이라 한다...
상사라와 니르바나의 현상은...무엇에 바탕을 두고 있는가?
업과 장애의 상사라적인 현상은...원시청정의 대공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부처의 신체와 지혜라는 모든 니르바나적인 현상은...
원시청정의 대공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러나 까르마와 번뇌라는 상사라적인 현상이 원시청정의 대공성과 같은 거냐고 물으면...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같지않다고 말하는 이유는...
까르마와 번뇌와 같은 상사라의 현상은 혼동과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번뇌로 인해... 탐욕..진애..무지와 같은 까르마가 일어나고...
육도환생의 고통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원시청정의 대공성 속에는..고통이라는 이름마저도 존재하지 않는다...
원시청정의 대공성을 깨달은 자는..
상사라의 현상을 그 자체만의 존재성이 없는 그림자나..
하늘에 드리워진 무지개... 사막의 신기루와 같은 것으로 보게된다...
어떠한 방식으로...
부처의 신체와 지혜라는 니르바나적인 현상은 원시청정의 대공성에 바탕을 두고있는가?
그 본성은 같은 것이다...
부처의 신체와 지혜는 원시청정의 대공성 속에 자연적으로 존재한다...
그 두가지는 조건과 상관없이 스스로 존재하고.. 원시청정의 대공성과 관련을 갖고 있지만..
부처의 성품을 설명하기 위해... 32상호와 80종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32상호란 무엇인가?
우리는 그 하나하나가 실재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말하자면...육계는 정수리 위에 솟아있는 어떤 것이 아니고..
백호는 미간에 있는 털이 아니다..
그것은 본래부터 자생적으로 원시청정의 대공성 속에 현존하는.. 큰 공덕자량을 말한다...
이것은 보석에 비유될 수 있다..
다이아몬드가 크든 작든...다이아몬드의 본질적인 가치는 그 자체 속에 있다..
마찬가지로..모든 공덕의 보고는 외적인 조건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다.
하늘의 태양이 빛날 때.. 그 빛은 잠부디빠(남섬부주)를 두루 비춘다..
태양은...자신이 대지를 비추려고 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태양이 하늘에서 빛나면... 그 빛은 저절로 땅을 비추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사람이 원시청정의 대공성을 깨달으면...
부처의 모든 신체와 지혜가 저절로 완성되고 완전해진다...
어째서 그런가?
그것은 지금 이순간...마음의 본성 속에 있다...그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마음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이 원시청정의 대공성을 깨닫지 못하는 것을... 무지라 한다...
그러한 무지는 팔만사천 번뇌의 뿌리이다..
족첸에 따르면 두 가지 무지가 있다....
원초적인 무지... 관념적인 무지...
원초적인 무지란 무엇인가?
상사라의 근본무명은...원초적인 무지라 한다...
이러한 원초적인 무지는 원시청정의 대공성이 모습을 드러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완전히 깨달으면...원초적인 무지는 깨끗하게 벗겨질 것이다...
무지는 안개와 같아...뿌옇고 강한 냄새가 난다..
안개가 공중으로 흩어져 사라지면...어디에도 그 모습이 남지 않게된다......
무명은 그와 똑같다...
다르마타(법성)란 무엇인가?
그것은 애초부터 내재된 본성속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은 어디에선가 구해와서.. 노련한 대장장이가 두들겨 만든 물건과 같은 것이 아니다...
불가해한 이 성품은...본래부터 완전하다...
부처와 중생 사이에 유일한 차이는 이러한 성품을 깨달았느냐 깨닫지 못했느냐에 있다...
근본에 있어서는.. 부처와 중생사이에 아무런 차이가 없다.
그러나 현상적으로 보면...중생은 미혹되어있고..부처는 그렇지 않다...
그것이 유일한 차이이다..
두조각의 금을 장신구를 만드는데 쓰고자 하는데...
하나는 불순물이 섞여있고.. 하나는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불순물이 정련될때까지는.. 장신구로 인정받거나 쓸 수가 없다...
하지만..둘다 금은 금이다.
상사라와 니르바나의 현상적 본질은 유사하다...
원시청정은 공성의 측면이고...
랍잠은..상사라와 니르바나의 현상적 측면이다...
상사라와 니르바나 현상의 바탕은 무엇인가?
그것은 족첸에서...자재광이라 한다...
원시청정과 자재광은 서로 다르냐면.. 그렇지는 않다...
자재광의 본성은 원시청정이기 때문이다...
비롯된 바탕없이 본래부터 존재하는 몸과 지혜는 원시청정을 손상시키는가?
그렇지 않다..
원시청정의 공성은 광대한 법계의 초월적인 지혜이기에...
비롯된 바탕없이 존재하는 자재광의 특성들이... 원시청정의 대공성 속에 존재하는 것이다...
자생적으로 거기 그렇게 존재하는 것이다...
제자에게 이것을 설명할 때....
현상적인 측면은 공성의 측면과 분별하여야 한다...
원시청정의 대공성의 관점에서는.. 자재광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어야 한다...
자재광은 원시청정의 본질 속에 들어있다...
그러나 자재광의 측면에서 바라 볼 때는..
원시청정의 대공성을 어디에서도 찾을 필요가 없다...
October 27, 2012
원시청정 ~~전승의 역사
심오한 가르침에 귀기울이게 하소서!"
이와같이 선언함으로서...
우리는 수승한 보리심을 일으키고...
모든 것을 하나하나 정확히 기억해야겠다는 태도로..다르마에 귀기울이게 된다..
비밀진언승은..원인승보다 뛰어나다..
닝마전승에 따르면... 가르침은 아홉으로 나눌 수 있고...
그 중 아홉번째가.. 아띠요가승이다...
아띠요가승.. 혹은 족첸은 심식부(쎔데)..공행부(롱데)..요결부(멩~ㅇ악데)로 나뉜다..
지금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요결부에 속한 것이다...
요결부 안에는 두 부분이 있다....
떽최와 퇴갤이 그것이다....
떽최에 대한 설명은...두 부분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가르침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기 위한 지식으로서..
전승의 역사를 살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견해와 명상과 행위가 무엇인지를 하나하나 살펴보는 것이다..
믿음을 일으키기위한 지식으로서의 전승의 역사는 이렇게 설명되어있다..
"자비의 보배를 지니신.. 견줄 수 없는 근본스승에게 엎드려 절하나이다.."
귀한 것으로 치자면.. 스승은 3보를 한몸 안에 지니신 분이라 했으니.. 견줄 수 없고...
공양의 대상으로 치자면.. 스승의 몸에 나있는 털구멍 하나에 공양을 올리는 것이...
천분의 부처님께 공양올리는 것보다 더 귀하다고 했으니...견줄 수 없고...
가피로 치자면...
스승앞에서 두손 모으고 예경을 하는 것만으로 궁극적인 지혜가 저절로 솟아오르니..
스승의 가피는 견줄수가 없는 것이다...
중생에 대한 불보살의 자비는 외아들을 향한 어머니의 마음과 같다 했다...
오탁악세에는... 중생이 부처님의 얼굴을 볼 수가 없고.. 그분의 말을 들을 수가 없다..
스승은...중생을 향한 커다란 자비에서...
지혜와 자비..성취의 힘으로..
여섯가지 요소를 갖춘 금강신을 취하게 된다..
그가 쌓아올린 덕은 부처님과 다르지 않고....
그의 자비는..모든 부처님을 능가한다...
그러므로...자비의 왕이신...은혜로우신 스승님께 엎드려 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떽최수행의 견지에서...
스승은 3보를 한 몸안에 지니신 분이므로...
스승에게 예경하는 것은.. 현존하는 모든 귀의의 대상에게 예경하는 것과 같다..
어떻게하면 이러한 스승을 알아볼 수 있을까?
법신 싸만따바드라나 자신의 근본스승..모두가 다 스승이다...
구역전승에 따르면... 세 가지 전승이 있다...
승리자(Buddha)의 마음전승(心傳)..
지명(Vidyadhara)의 수인전승(印傳)..
수승한 자(Bodhisattva)의 구이전승(口傳)...
승리자의 마음 전승은..
법신 싸만따바드라의 마음에서 생겨나.. 다섯 보신불(五禪定佛)에게 전해진 것이다..
마음 전승은 무엇인가?..
마음전승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법신 싸만따바드라와 승리자(Buddha)의 다섯가지 종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역전승에서.. 법신 싸만따바드라는 지금강.. 혹은 여섯번째 지금강이라 불린다..
모든 종성의 왕으로서...
5종성을 다스리는 제왕이기에...여섯번째 지금강으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법신을 의미하는 것이다...
법신의 본성은 5종 지혜로 이해될 수 있고...다섯 붓다종성과 관련되어 있다...
각각의 종성과 연관된 다섯명의 승리자는
아촉불..보생불.. 아미타불..불공성취불..비로자나불이다..
다섯으로 나뉜다 하더라도...
싸만따바드라와 다섯 승리자 사이에..근본적으로 높고 낮음의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모두 붓다이다...
수정구 속에 여러가지 모습이 비추어지더라도..그 모습이 수정구 속에 있는 것과 같다..
이것이 말로 이해되지는 않는다해도..
다섯 승리자의 지식은 법신 싸만따바드라의 지혜에 의해 드러나게 된다...
지명(Vidyadhara)의 수인전승은..
다섯 승리자가 3종성의 수호자..그 중에서도 밀법의 왕 금강수에게 전한 것이고..
그 다음에는 다섯 보살에게 전해진 것이다...
족첸의 전승은 다섯 승리자로부터 금강살타에게 전해지고...
그것은 다시 가랍 도르제에게 전해졌다..
그것은 지명(持明)의 수인전승이라 불린다..
비드야(明)은 긍정과 부정..수용과 거부로부터 벗어난 지혜를 의미한다..
그것은 항상.. 명상과 오후수행을 넘어서 있고....
자비의 공간에 있는 손으로 비드야(明)를 붙잡는((持) 자를.. 지명(持明)이라 한다...
다섯 승리자나 금강수..금강살타.. 쁘라헤바즈라(가랍도르제)는 부처이다...
그들은 오로지 수인이 가리키는 것을 통해서 깨달음에 도달한다...
수인을 통한 깨달음이란 무었인가?
구루린포체가 시리씽하를 만났을 때..
시리씽하는 구루린포체의 심장차끄라를 향해..무드라를 지었고..
꼬 하 아 사 싸 마 하 돌~~이라는 주문을 외웠다...
단지 수인을 보여주었을 뿐인데.. 그 소리를 들었을 뿐인데..
시리씽하와 구루린포체의 마음은 동일한 것으로 변형되었다...
아무 말도 필요하지 않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이것은 지명의 수인전승이라 불린다..
수승한 자의 구이전승은 쁘라헤바즈라...만주시리미뜨라..갸나수뜨라..
비말라미뜨라...빼마까라를 거쳐서... 제왕..신하..도반에게 전해졌다..
이것은 왜 수승한자의 구이전승이라 불릴까?.....
관정..구전..구결은 말과 글이라는 수단으로 주어진다..
전승은 어떤 사람의 말이나.. 글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수승한 개인의 구이전승이라 불린다...
이러한 세 전승은...
여기서 설명하게 될..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말에 관한 요결 속에 함축되어 있다..
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말에 관한 요결이 지닌 견해의 관점에서 볼 때...
승리자의 마음전승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변지 롱첸랍잠이다..
롱첸랍잠은 티벳땅에 태어난 한 스승이지만....
그의 지혜는 부처님의 지혜와 동등하였다...
그는 상사라와 니르바나.. 생성과 소멸이 사라진 경지에 도달하였다...
대학승 비말라미뜨라는.. 족첸 닝틱을 가르치기 위해..
100년마다 한번씩 티벳으로 오겠다고 약속하셨다...
그는..이와같은 방식으로 어김없이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고...
그 약속은 계속해서 잠양켄쩨왕뽀...잠양켄쩨최끼로되를 통해 이어지게 되었다...
이 모든 환생자가운데...한분은 세상의 모든 학문에 통달한 대스승이었다...
그는 변지 롱첸랍잠빠이다...
정진력..지적이해.. 성취..깨달음..불사와 같은 덕을 모두 다 갖추신 분이었다...
족첸의 전승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독보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잠부디빠에 있는 6 장엄과 2 지존이 모으신 공덕을 한 몸에 지닌분이셨다...
그에게는..근본스승 꾸마라자 외에도...스무명 가량의 족첸 스승이 있었다..
그러나.. 롱첸랍잠의 마음은 법신 싸만따바드라와 다르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승리자의 마음전승에 속한 분이었다..
롱첸랍잠빠는 티벳에 여러번 환생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자는 변지 직메링빠이다..
직메링빠는 3년동안 일심으로 진언을 외우면서...
쌈예 침푸에있는 성지...딱마르 께우짱이라는 화장터에 머무셨다...
그곳에서 족첸의 견해를 명상하는 동안...그는 롱첸랍잠으로부터 세 가지 계시를 받았다...
이어서.. 롱첸랍잠의 육신의 가피.. 언어의 가피..마음의 가피를 받았고...
그로인해..족첸 닝틱의 전승자로 지목되었다...
그는.. 전승이 지닌 마음의 가피가 전해지리라는 말을 들었다...
그는...언어의 전승이 완성되리라는 말을 들었다..
그는.. 스승과 제자의 마음이 같아지리라는 말을 들었다...
이것이.. 직메링빠의 심보장인..롱첸닝틱이 잠부디빠에 널리 퍼지게 된 경로이다...
직메링빠는 다만 변지 롱첸랍잠이 보여주는 수인을 보았을 뿐이다...
그 결과로.. 그는 무명의 결박에서 벗어났다...
그는 지명의 수인전승에 속한 분이었다...
수승한 인간의 구이전승과 관련하여..
변지 직메링빠 곁에는
캄지방에서 온 네명의 직메.. 제왕과 신하..도반의 여러 환생자들이 있었다...
그의 상수제자는 직메 갤외 뉴구였다..
그는 관음의 화신이었다...
직메링빠는 그에게 대공심요라 부르는..롱첸닝틱을 모두 전수하였다..
직메 갤외뉴구는 이 구결을 잠양켄쩨왕뽀와 빠뛸최끼왕뽀에게 전하였다..
이렇게.. 족첸의 관정.. 구전..구결이 입에서 귀로 전해지게되었다..
이를두고.. 수승한 개인의 구이전승이라 한다...
빠뛸최끼왕뽀는 세 가지 전승을 모두 지니신 분이다...
그는 짧은 문장속에..의미가 깊은..정곡을 찌르는 세마디 말에 관한 요결을 남겼다..
이를 통해...족첸의 떽최.. 원시청정에 관한 의미를 명료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은...
이 족첸의 가르침이 세 가지 전승을 모두 포함하고있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있고..
이 가르침에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학문적인 이해..지적인 이해만으로는 족첸의 견해.. 명상..행위를 결합할 수 없다...
족첸의 견해와 명상..행위를 이해할 때...
우리는 부처님의 가장 수승한 명상을 이해할 수 있다...
대성취자 띨로빠는 인간 스승이 없었다고 한다...
띨로빠는 오디야나에 있는 다끼니국에 가서..
바즈라요기니로부터 비밀다끼니 보장을 전수받았다..
여든 네명의 인도 대성취자 가운데... 띨로빠의 깨달음은 가장 수승하였다...
이와같이... 견해와 명상..행위를 완성한자는 속전(Tantra)을 설명할 수가 있다...
그렇지않은 자는 할수 없다..
우리같은 보통사람들은...그 것을 이해할 수 없다..
세 가지 전승을 모두 지닌 스승은...족첸의 견해를 완성한 것이다...
상사라와 니르바나의 생성과 소멸을 초월한 것이다...
이처럼...견해와 명상과 오후수행을 이해하는 것이 족첸이다...
이와같이 하는 것이 족첸의 핵심이다...
그렇게 하는자의 가르침은...오류가 없다..
`부처는 전능하다`는 말을 듣는다..
누군가가 견해를 이해하게 되면...
부처가 얻은 지식을 넘어선 지식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처는 전능하다`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부처가 밝힌 궁극적인 견해를 말해주는 가르침이 족첸이다..
그러므로...족첸을 가르치는 자는
부처의 견해를 깨달아..번뇌에서 벗어난 자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전승도 없고...뿌리도 없는자가 그리 될 수는 없다..
모든 다르마는 부처님의 구결이고...그 구결에 대한 설명이다...
구결에 대한 설명은 견해를 바로 명상할 때 가능해진다...
그 덕택으로...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은 오랫동안 세상에 남아있게 될 것이다...
승리자의 구결과 전승자들이 주는 설명은...
인용 논리 구결을 철저하게 분석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오류가 없다...
법성의 진리를 바로 보는 자는..
추론에 의존하지 않고... 부처의 견해를 직접 깨달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부처의 견해를 직접 깨닫지 못하고..추론에 의지하게 된다...
부처의 견해는...비밀진언승의 모든 가르침을 통해 직접 깨달을 수가 있다...
그 중에서.. 부처의 견해를 직접 깨닫기 위한 핵심구결은 족첸이다..
족첸에는 심식부가 있고...공행부가 있고...요결부가 있다...
그 중에서 요결부는 깨끗한 심장의 피와 같은 것이다...
그러한 견해에 따라 가르치는 것은.. 변지 스승과 그 아들의 구결을 따르는 것이다...
October 12, 2012
롱첸닝틱 귀의경
괸뽀 쩨뗀 린포체께서 직접그리신 롱첸닝틱 귀의경입니다..
그의 삶은 깊이 숨겨져 있어 잘 보이지 않았으나..
비말라미뜨라의 비밀 환생자로서 세상에 왔다 가셨습니다...
롱첸랍잠..직메링빠..짐양켄쩨왕뽀의 이름은.. 족첸닝틱 하늘에서 고고하게 빛납니다...
괸뽀 쩨뗀은...그들 만큼이나 빛나는 빛이되어..20세기의 하늘을 눈부시게 비추었습니다...
October 9, 2012
October 7, 2012
셰첸사원
이번에 오신다는 7대 셰첸랍잠린포체가 어떤 분이신가 할텐데요...
하나하나 연관된 주제를 가지고.. 여러분에게 정보를 제공해볼까 합니다...
이번 주제는.. 셰첸랍잠린포체께서 주인으로 계시는 셰첸사원에 관한 것입니다...
셰첸사원은 본래... 티벳동부 캄지방에 있었던 것이지만...
그곳을 버리고 떠난 뒤에..
딜고켄쩨린포체께서는...그 영화로움을 되살리고 싶어하셨고...
혼신의 힘을 다해.. 기억속에 있는 셰첸을 재건하게 됩니다...
그 셰첸은 지금...까트만두..보다나트(자룽카소르) 곁에 있습니다..
글고.. 보드가야에 작은 셰첸사원이 하나있고...
부탄 씨씨낭에도 셰첸 비구니사원이 있구요...
셰첸은 장경각.. 티벳불교문화와 예술을 보존하기 위한 쩨링 예술학교..
셰드라(승가대학)를 운영하고있습니다...
셰드라는 1백명의 학승이 11년 교과 과정을 거치게 되어있습니다...
먼저 말씀드렸다시피...교과과정은 켄뽀 셍가의 13논전이 핵심으로 자리잡고 잇습니다...
3년무문관은.. 숨넘어가게 높은 산꼭대기..나모붓다에 있습니다...
쩨링 예술학교는 탕카가 유명한데...
6년과정을 배우게나면.. 훌륭한 장인으로 태어난답니다..
-------->>
아래 사진은 셰첸사원 사이트로 링크됩니다...
아래 사진은 셰첸사원 사이트로 링크됩니다...
셰첸사원은 닝마전승의 6대사원 중의 하나입니다...
닝마의 6대 사원은.. 송광사.. 해인사와 같은 큰 절을 말합니다...
큰 지도에서 동부 캄지방의 닝마사원 보기
그리고 이 큰 절 주변에는.. 작은 말사들이 달려있겠죠..
큰 절은 승가가 갖추어야 할 많은 것들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큰 법당은 물론이요...
셰드라와 같은 승가대학.. 무문관과 같은 수행처.. 암자 따위를 갖추고 있고...
불교예술을 가르치는 학교... 여러 신행단체 같은 것을 거느리고 있기 마련이죠...
닝마의 6대 사원은....
까똑.. 도르제 닥.. 민돌링.. 뺄율... 족첸.. 그리고 마지막으로 셰첸.. 이렇게 여섯입니다..
역사 속에 나타난 순서대로 나열하였습니다...
그래봐야~~ 17세기 중반에서 17세기 후반 사이에 나타난 것이니...
역사가 오랜것이라 해봐야.. 40년 앞선 것이고......
다른 모든 전승이 화려한 꽃을 피우고나서 시들만큼 시들었을 때..
비로서 나타나기 시작했으니...어떤식으로도...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1천년 가까이 닝마는 도데체 뭐한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수도 있습니다...
닝마의 역사를 보면... 사원이 없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인듯이 보입니다...
크게 집단을 이룬적도 없고.. 정치적인 색깔을 띤 적도 없고..권력을 형성한 적도 없습니다...
닝마는... 그렇게 고고한 삶을 사는 개인들일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어찌해서 갑자기 닝마에 사원들이 생기기 시작했을까요~~?
5대 달라이 라마...
그가 닝마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었습니다...
``야야~~ 집도 절도없이 그렇게 정처없이 다니기만 할거냐~~?``
``쫌.. 정착해라... 끄니도 꼬박 챙기고 말야~~``
이런 사연으로.. 닝마에도 번듯한 집(?)이 생겼습니다...ㅋ
셰첸사원도 그렇게해서 세워집니다..
그 곁에는 이웃처럼 족첸사원이 서있습니다...
5대 달라이라마님은.. 그 목적으로
셰첸랍잠 뗀뻬 갤쩬(1대 셰첸랍잠린포체)을 티벳동부에 있는 캄지방으로 보내게 되지요...
그렇게해서 세워진 셰첸사원은 나중에..
티벳 전역에 160개 말사를 거느린 큰 절이 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셰첸사원은 무엇보다도... 셰드라와 불교예술로 명성을 날리게 됩니다...
닝마는 법왕도 없었습니다...
20세기에 들어서서야...뒤좀 린포체께서 초대 법왕을 하시고...
딜고켄쩨린포체께서 그 뒤를 이었죠..
사실 이것도...달라이라마께서 시키신 일입니다..
큰 지도에서 동부 캄지방의 닝마사원 보기
셰첸 사원은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습니다..
셰첸 갤짭.. 셰첸랍잠..셰첸꽁뛸...미빰린포체.. 딜고켄쩨린포체.. 켄뽀 강샤르.. 최걈 뚱빠..
그 중에서셰첸갤짭.. 미빰린포체.. 딜고켄쩨린포체는
셰첸이 낳은 가장 핵심적인 인물이라 할 것입니다...
켄뽀 강샤르는.. 서양에서 절대적 명성을 얻은 최걈뚱빠의 근본스승이자..
까르마까귀의 대학승.. 탕구린포체의 근본스승입니다...
둘 다..티벳불교를 공부하는 서양인들에게는 인기 짱이죠...
September 27, 2012
A Preliminary Note on Vimalamitra's Aural Lineage
A Preliminary Note on Vimalamitra's Aural Lineage:
Up until now, Longchenpa's (1308-1364) Tshig don mdzod or Treasury of Subjects has taken the pride of place as the definitive system of exegesis of the so-called Dzogchen "snying thig" tradition derived from the seventeen tantras. David Germano's 1992 dissertation, Poetic thought, the intelligent Universe, and the mystery of self: The Tantric synthesis of rDzogs Chen in fourteenth century Tibet, was certainly a milestone in the study of this topic, but leaves much to be desired in terms of exposing the origins of this system of analysis of the man ngag sde class of tantras.
Fortunately, we are now in a better position than we were in 1992. Several seminal commentaries on tantras such as the sgra thal gyur and so on, have come to light, which are now being critically edited by native scholars such as Chogyal Namkhai Norbu and so on.
We also have had the good fortune of the publication of a 12th century text authored by one mKhas pa Nyi 'bum, the son of Zhang ston bkra shi rdo rje, called the rdzogs pa chen po tshig don bcu gcig pa bzhugs so (bod ljongs mi dmangs dpe skrun khang; lha sa; 2008) or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We have also the good fortune of the publication of The Aural Lineage of Vimalamitra (rgod kyi ldem 'phru can. dgongs pa zang thal. TBRC W18557. 4: 187 - 406. simla: thub bstan rdo rje brag e wam lcog sgar , 2000).
In regards to the third text mentioned above, The Aural Lineage, this latter text is a slightly augmented recension with interpolations of supplementary citations and brief summaries into the original text authored by Nyi 'bum. Presented as a dialogue with King Trisong Detsen at Chimpu, apart from the introduction and a couple of scene specific interpolations, it presents a version of the Nyi 'bum text in its entirety with differences accountable by differing manuscript traditions and scribal errors. In several places whe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leven Subjects and the Aural Lineage they are resolved by examining the same passages presented in the Treasury. In some cases sense can be restored to passages in the Eleven Topics with the Aural Lineage.
Moreover, the citations attributed to Vimalamitra in both the Treasury and the Aural Lineage find their origin in Nyi 'bum's Eleven Subjects.
Further, we can understand that at least one of the major commentaries on the seventeen tantras was present during the time of Nyi 'bum from which he must have derived his own presentation of the eleven topics i.e. the eigth and final chapter of the commentary of The String of Pearls Tantra attributed to Vimalamitra; the colophon of which notes that it was transmitted by Nyi 'bums's nephew, Guru Jo 'ber to one Gru gu Jo 'bum.
Thu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latter two texts, we can now triangulate the position of The Treasury of Subjects. Germano's thesis lends the impression that The Treasury of Subjects is a unique contribution of Longchenpa to the field of Dzogchen exegesis. But in fact, for its subject matter, The Treasury of Subjects is wholly dependent on Nyi 'bum's earlier text, both in terms of the general sequence of citations and of lifting entire passages or reworking entire passages. Thus, Nyi 'bum's seminal text,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provides the grand outline upon which the scholastic exegesis of the entire later Nyinthig tradition depends. It was clearly the main text used to teach the general outline of snying thing used up until the time of Kumararaja and it is absolutely certain that The Eleven Subjects was the text that Longchenpa had in front of him when he was composing his Treasury of Subjects.
While there is a great deal more that could be said about these three texts, and will be said about them in my forthcoming translation of The Aural Lineage, for now it is sufficient to note that there are numerous interesting questions about the transmission of Nyi 'bum's tex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ore texts of the mkha' 'gro snyin thig to it, the transmission of the Eleven Subjects to Rigzin Godem (1337 - 1409, revealor of the dgongs pa zang thal), his rennovation of the text as a dialogue between Pandita Vimalamitra and Trisong Detsen, the subsequent eclipse of The Eleven Subjects in favor of the Treasury (a text at least four times in length), and so on.
One ready answer is that the Treasury contains responses to 14th century scholastic objections to Dzogchen (an overwhelming concern of Longchenpa) whereas The Eleven Subjects was transmitted in a close circle of disciples with very little ouside contact. Hence the polemics presented in the latter, such as there are, mainly consist of a condensed review of different theories of the basis which are presented in exhaustive detail in the fifth chapter of the exhaustive commentarary on the Tantra of the Six Dimensions of Samantabhadra, attributed also to Vimalamitra. Further, Longchenpa is clearly writing with a number of desiderata in mind such as cleaning up and/or omitting incorrect citations or citations he cannot readily identify in Nyi 'bum's text, and so on, as well as elaborating the eleven subjects with further relevant citations from texts indirectly referenced in Nyi 'bum.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Nyi 'bum's text has been replaced in the Vima Snying thig with a quasi-treasure text authored by Longchenpa that just covers the bare bones of the eleven subjects sans citations.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also that Longchenpa does move a section concerning the formation of the body to the second topic heading, the delusion of sentient beings, from its place in the Eleven Subjects/Aural Lineage in the fifth topic, the pathway of wisdom. He adds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ll-basis and the dharmakāya which is not found in either of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other features of the Treasury of Subjects that mark it for special consideration as well, such as Longchenpa's grounding of the third subject, the treatment of the basis or seed of buddhahood present in all sentient beings explicitly within the tathāgatagarbha corpus of sūtras, and tagging the eleven subjects with the same denominator, "rdo rje gnas", or "vajrapada", an evident homage to the Uttaratantra of Maitreyanatha. While Longchenpa clearly upheld his understanding of so-called Prasanga Madhyamaka as the definitive expression of Mahāyāna view, it is also absolutely correct to state that Longchenpa held the tathāgatagarbha corpus of sūtras as the definitive expression of Mahāyāna given his separate treatment of this doctrine in the sgrub mtha' mdzod and in the Treasury of Subjects.
One might also speculate that the earlier text was rennovated by Rigdzin Godem and included in the dgongs pa zang thal collection because it represents an earlier tradition than that of Longchenpa, has a less cluttered presentation, is not as long, is easier to teach and so on, and as such does indeed represent the basis of the authentic aural lineage of Vimalamitra.
However, as indicated above, the study of the three texts concerning the eleven topics authored by Longchenpa, as well as the dgongs pa zang thal's Aural Lineage, is not complete without reference to the earliest extant text we have on the subject,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Therefore, Nyi bum's text occupies a critical point in 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the snying thig tradition and should not be overlooked.
Pandita Vimalamitra Courtesy: S. Noskov |
Fortunately, we are now in a better position than we were in 1992. Several seminal commentaries on tantras such as the sgra thal gyur and so on, have come to light, which are now being critically edited by native scholars such as Chogyal Namkhai Norbu and so on.
We also have had the good fortune of the publication of a 12th century text authored by one mKhas pa Nyi 'bum, the son of Zhang ston bkra shi rdo rje, called the rdzogs pa chen po tshig don bcu gcig pa bzhugs so (bod ljongs mi dmangs dpe skrun khang; lha sa; 2008) or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We have also the good fortune of the publication of The Aural Lineage of Vimalamitra (rgod kyi ldem 'phru can. dgongs pa zang thal. TBRC W18557. 4: 187 - 406. simla: thub bstan rdo rje brag e wam lcog sgar , 2000).
In regards to the third text mentioned above, The Aural Lineage, this latter text is a slightly augmented recension with interpolations of supplementary citations and brief summaries into the original text authored by Nyi 'bum. Presented as a dialogue with King Trisong Detsen at Chimpu, apart from the introduction and a couple of scene specific interpolations, it presents a version of the Nyi 'bum text in its entirety with differences accountable by differing manuscript traditions and scribal errors. In several places wher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Eleven Subjects and the Aural Lineage they are resolved by examining the same passages presented in the Treasury. In some cases sense can be restored to passages in the Eleven Topics with the Aural Lineage.
Moreover, the citations attributed to Vimalamitra in both the Treasury and the Aural Lineage find their origin in Nyi 'bum's Eleven Subjects.
Further, we can understand that at least one of the major commentaries on the seventeen tantras was present during the time of Nyi 'bum from which he must have derived his own presentation of the eleven topics i.e. the eigth and final chapter of the commentary of The String of Pearls Tantra attributed to Vimalamitra; the colophon of which notes that it was transmitted by Nyi 'bums's nephew, Guru Jo 'ber to one Gru gu Jo 'bum.
Thus, with the publication of the latter two texts, we can now triangulate the position of The Treasury of Subjects. Germano's thesis lends the impression that The Treasury of Subjects is a unique contribution of Longchenpa to the field of Dzogchen exegesis. But in fact, for its subject matter, The Treasury of Subjects is wholly dependent on Nyi 'bum's earlier text, both in terms of the general sequence of citations and of lifting entire passages or reworking entire passages. Thus, Nyi 'bum's seminal text,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provides the grand outline upon which the scholastic exegesis of the entire later Nyinthig tradition depends. It was clearly the main text used to teach the general outline of snying thing used up until the time of Kumararaja and it is absolutely certain that The Eleven Subjects was the text that Longchenpa had in front of him when he was composing his Treasury of Subjects.
While there is a great deal more that could be said about these three texts, and will be said about them in my forthcoming translation of The Aural Lineage, for now it is sufficient to note that there are numerous interesting questions about the transmission of Nyi 'bum's tex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core texts of the mkha' 'gro snyin thig to it, the transmission of the Eleven Subjects to Rigzin Godem (1337 - 1409, revealor of the dgongs pa zang thal), his rennovation of the text as a dialogue between Pandita Vimalamitra and Trisong Detsen, the subsequent eclipse of The Eleven Subjects in favor of the Treasury (a text at least four times in length), and so on.
One ready answer is that the Treasury contains responses to 14th century scholastic objections to Dzogchen (an overwhelming concern of Longchenpa) whereas The Eleven Subjects was transmitted in a close circle of disciples with very little ouside contact. Hence the polemics presented in the latter, such as there are, mainly consist of a condensed review of different theories of the basis which are presented in exhaustive detail in the fifth chapter of the exhaustive commentarary on the Tantra of the Six Dimensions of Samantabhadra, attributed also to Vimalamitra. Further, Longchenpa is clearly writing with a number of desiderata in mind such as cleaning up and/or omitting incorrect citations or citations he cannot readily identify in Nyi 'bum's text, and so on, as well as elaborating the eleven subjects with further relevant citations from texts indirectly referenced in Nyi 'bum.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Nyi 'bum's text has been replaced in the Vima Snying thig with a quasi-treasure text authored by Longchenpa that just covers the bare bones of the eleven subjects sans citations.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also that Longchenpa does move a section concerning the formation of the body to the second topic heading, the delusion of sentient beings, from its place in the Eleven Subjects/Aural Lineage in the fifth topic, the pathway of wisdom. He adds a detailed discussion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ll-basis and the dharmakāya which is not found in either of the latter two texts. There are other features of the Treasury of Subjects that mark it for special consideration as well, such as Longchenpa's grounding of the third subject, the treatment of the basis or seed of buddhahood present in all sentient beings explicitly within the tathāgatagarbha corpus of sūtras, and tagging the eleven subjects with the same denominator, "rdo rje gnas", or "vajrapada", an evident homage to the Uttaratantra of Maitreyanatha. While Longchenpa clearly upheld his understanding of so-called Prasanga Madhyamaka as the definitive expression of Mahāyāna view, it is also absolutely correct to state that Longchenpa held the tathāgatagarbha corpus of sūtras as the definitive expression of Mahāyāna given his separate treatment of this doctrine in the sgrub mtha' mdzod and in the Treasury of Subjects.
One might also speculate that the earlier text was rennovated by Rigdzin Godem and included in the dgongs pa zang thal collection because it represents an earlier tradition than that of Longchenpa, has a less cluttered presentation, is not as long, is easier to teach and so on, and as such does indeed represent the basis of the authentic aural lineage of Vimalamitra.
However, as indicated above, the study of the three texts concerning the eleven topics authored by Longchenpa, as well as the dgongs pa zang thal's Aural Lineage, is not complete without reference to the earliest extant text we have on the subject, The Eleven Subjects of The Great Perfection. Therefore, Nyi bum's text occupies a critical point in 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the snying thig tradition and should not be overlooked.
September 26, 2012
원시청정(原始淸淨)..
`정곡을 찌르는 세 마디 말`..에 관한 구결(口訣)을 소개합니다..
`찍숨네덱`-- 정곡을 찌르는 세 마디 말..은 가랍도르제(Garab Dorje)의 핵심 가르침입니다..
그는 족첸의 첫번째 인간 스승입니다..
어느날..그는 시다림(尸陀林)에 있는 대탑 위에서..
제자 만주시리미뜨라가 보는 앞에서 육신을 불멸의 정광명신으로 바꾸고..
하늘 높이 솟구치며 사라져버립니다..
제자.. 만주시리미뜨라는 하늘 위를 올려다 보며...커다란 절망감에 빠져 외칩니다..
`` ``
이 때...하늘의 빛 속에서 황금색 작은 호부함 하나가 떨어지고..
호부함을 열자..
거기..
가랍도르제의 모든 가르침의 핵심..` 정곡을 찌르는 세 마디 말`이 들어 있었습니다...
그 세 마디 말을 읽자마자..
만주시리미뜨라의 마음은 스승의 깨침과 동일한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이 글은..가랍도르제의 ` 정곡을 찌르는 세 마디 말`에 관한 것이며..
이에 관한 빼뛸 린포체의 아름다운 주석 `케빠 시리 갤뽀`를...
딜고켄쩨 린포체께서 원시청정(原始淸淨)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다시 설명하신 것입니다..
`케빠 시리 갤뽀` --빼뛸 직메 최끼 왕뽀
구루에게 엎드려 절하나이다..
견해는 롱첸 랍잠이다..
명상은 켄쩨 외쎄르이다..
수행은 갤외 뉴구이다..
이와같이 실천하는 자는..
의심의 여지없이 한 생에 구경의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그게 아니라도.. 최소.. 지복은 누릴 것이다...--아 랄 라
견해..롱첸 랍잠은 아래와 같다..
세 마디 말로 급소를 찌르려면...
먼저..마음을 느슨하게 풀어놓고...
어디로도 향거나 몰입하거나..혹은 생각하지 말고..
느슨하게.. 흔들림없이 그러한 상태에 머무르면서..
느닷없이...마음을 흩어버리는 소리를.. 팻~하고 소리질러라..
강하고.. 짧게...날카롭게..--에마호~!
그 어떤 것도..일체.. 하지 마라..
어떤 시도도 하지않으면서...완전히 개방된 채로 남아 있으라...
형용할 수 없지만..완전히 모든 곳으로 동시에 열려있는 그 상태로...
무어라 할 수 없는 이것...이것을 법신이라 여기라..
이 근본 성품(릭빠)을 자각하는 것..그것이 바로 첫번째 정곡이다...
그 다음에는..상념이 일어나든..멈추어있든..
화가나거나 집착이 일어나거나... 혹은 즐겁거나 슬프거나..
아직.. 흔들림없이 평상심으로 머무르지 못한다면...
산란함을 버리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상을 몇 차례로 나누고...
모든 순간에...모든 상황에서..
이 법신의 상태가 끊김없이 이어지게 하라...
그리고..이것 외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정에 도달하라..
이 한가지 결정에 도달하는 것.. 그것이 바로 두번째 정곡이다..
이번에는.. 좋거나 싫거나.. 혹은 기쁘거나 슬프거나 하는...
모든 지나가는 상념들을...빠짐없이 모두 알아차리되..
아무런 앙금도 남기지는 마라...
대상에 끄달리지 않는 가운데.. 그 속에서 법신을 자각하게 되면...
마치 물 위에 그린 그림처럼...
그것은..그저 끊임없이...일어났다 꺼지고..일어났다 꺼지는 것을 보게 된다..
무엇이 일어나든... 그것은 실체가 비어있다는 것을 자각하기 위한 재료일 뿐이다..
어떤 상념이 일어나든...그것은 왕인 법신이 나타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아무 흔적도 남기지 말고...어디에도 매이지 마라..-- 아 랄 라
상념이 일어나는 방식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
하지만 거기서 벗어나는 길은 매우 특별한 핵심이다..
이러한 핵심이 없다면... 명상은 그저 무명의 혼돈일 뿐이다...
이러한 핵심이 있다면...이것은 꾸밈없는 법신의 상태이다...
이와같이 무애자재함에 확신이 생기는 것..그것이 바로 세번째 정곡이다...
세 가지 정곡을 아는 이러한 견해..
이것을 아는 지식과 이것을 적용하는 자비가 결합된 명상...
이 두가지는.. 승리자의 아들인...부처가 실천하는 수행의 도움으로 완성되니..
이 두가지는.. 승리자의 아들인...부처가 실천하는 수행의 도움으로 완성되니..
설령..삼세의 부처님이 함께 의논한다 해도...
이보다 더 수승한 가르침은 얻지 못할 것이다...
자각의 실재라 하는.. 이 법신의 보물을 발견하는 자는..
광대한 지식의 세계에서.. 이것을 하나의 보물로 발견한 것이다...
이것은 흙이나 돌에서 추려낸 어떤 것들하고는 다르다...
이것은.. 가랍 도르제의 열반송이다..
이것은.. 세 전승의 핵심이다..
이것은.. 가장 소중한 제자에게 비밀리에 맡겨놓은 것이다..
이것은.. 의미가 광대하지만..요결이다..
이것은.. 요결이지만 핵심을 찌른다...
그러므로..
핵심적인 의미가 흐려지게도 하지 말고..
자세한 설명이 사라지게도 하지마라...
이것으로..케빠 시리 갤뽀에 관한 특별한 가르침을 마친다...
이것은 흙이나 돌에서 추려낸 어떤 것들하고는 다르다...
이것은.. 가랍 도르제의 열반송이다..
이것은.. 세 전승의 핵심이다..
이것은.. 가장 소중한 제자에게 비밀리에 맡겨놓은 것이다..
이것은.. 의미가 광대하지만..요결이다..
이것은.. 요결이지만 핵심을 찌른다...
그러므로..
핵심적인 의미가 흐려지게도 하지 말고..
자세한 설명이 사라지게도 하지마라...
이것으로..케빠 시리 갤뽀에 관한 특별한 가르침을 마친다...
August 10, 2012
The Magical Show -- Khyentse Norbu
Anika Tokarchuk
MAGICAL SHOW is the poignant story of Kunga Wangchuk, a devoted Buddhist scholar,
who survived almost certain death and 21 years in Chinese concentration prisons,
to finally escape Tibet, walking alone across the Himalayas to India.
littlerani.blogspot.com/2006_09_01_archive.html
MAGICAL SHOW is the poignant story of Kunga Wangchuk, a devoted Buddhist scholar,
who survived almost certain death and 21 years in Chinese concentration prisons,
to finally escape Tibet, walking alone across the Himalayas to India.
His undying dream was to join the new reincarnation of his deceased master, (Khyentse Norbu),
and re-establish the renowned legacy of Buddhist philosophical teachings he was a last living repository of.
Together they rebuild the monastic college in exile that also becomes home to the football loving lamas
who inspired ‘The Cup’
and re-establish the renowned legacy of Buddhist philosophical teachings he was a last living repository of.
Together they rebuild the monastic college in exile that also becomes home to the football loving lamas
who inspired ‘The Cup’
This moving story shows the strength and determined will of a truly remarkable man,
with a truly remarkable tale to tell.
with a truly remarkable tale to tell.
Charismatic Tibetan Buddhist reincarnate master and filmmaker Khyentse Norbu (The Cup, Travelers and Magicians) has an ultimate vision - to make a feature film about the life of the Buddha.
His idea is to parallel the story of Khenpo Kunga Wangchuk, a saintly Tibetan master,
who, after 21 years in Chinese concentration prisons, crossed the Himalayas,
alone, on foot, to meet the new reincarnation of his beloved guru, 20 year-old Norbu.
Together the young reincarnate and old master rebuild their famous Buddhist philosophical university Dzongsar Shedra, decimated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who, after 21 years in Chinese concentration prisons, crossed the Himalayas,
alone, on foot, to meet the new reincarnation of his beloved guru, 20 year-old Norbu.
Together the young reincarnate and old master rebuild their famous Buddhist philosophical university Dzongsar Shedra, decimated during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s the life of the historical Buddha is contrasted through the innocently magical vision of a little girl,
Norbu begins filming the elderly Kunga Wangchuk who poignantly narrates the story of his ‘three lives’.
Norbu begins filming the elderly Kunga Wangchuk who poignantly narrates the story of his ‘three lives’.
Pre-revolution, in a lost dream of old Tibet he was a master teacher.
Then, surviving death and imprisoned for 21 years,
his intimate and understated recollections of physical and mental torment.
his intimate and understated recollections of physical and mental torment.
Finally released, he courageously escapes to India to rebuild the scholarly tradition
he was a last living knowledge-holder of.
He desires only to tirelessly teach the complete cycle of wisdom.
he was a last living knowledge-holder of.
He desires only to tirelessly teach the complete cycle of wisdom.
But most unique is his radiance.
He has no hatred.
He has no hatred.
A much-revered teacher to the Dalai Lama himself,
Khenpo Kunga Wangchuk epitomizes the Buddhist faith and what it really stands for.
Khenpo Kunga Wangchuk epitomizes the Buddhist faith and what it really stands for.
littlerani.blogspot.com/2006_09_01_archive.html
film festival:
movie.cca.gov.tw/tidf/exhibition_eng.asp
Image Lantern Pictures, Ltd
Director & Producer
Anika Tokarchuk
Pal digitalbetacam
54 min
August 7, 2012
An Essential Instruction on Refuge and Bodhichitta « Chamtrul Rinpoche Bodhicitta Africa
An Essential Instruction on Refuge and Bodhichitta « Chamtrul Rinpoche Bodhicitta Africa:
In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upreme Assembly
I take refuge until I attain enlightenment.
Through the merit of practising generosity and so on,
May I attain buddhahood for the benefit of all beings.
August 6, 2012
The Practitioner of Meditation
The Practitioner of Meditation:
Filed under: Dharma Teachings, Uncategorized Tagged: Buddhism, Dharma, Dzogchen, Longchen Rabjam, Longchenpa, Meditation, Nyingma
by Longchen Rabjam
As an individual who takes up the practice, You must have faith, perseverance, renunciation and a sense of disenchantment.
You must be saddened and wearied by samsara, and strive for freedom. Renouncing the concerns of this life and seeking eventual enlightenment.
You must leave distractions and busyness far behind, and have few mental afflictions, Be easy-going and tolerant, and have pure perception and great devotion, As well as stability of mind[i] and deep respect towards the teachings— [Practitioners such as this will accomplish the most supreme liberation!][ii] You must serve, in the best possible way, a noble teacher, And purify your mind through study, reflection and meditation.
In particular, you should spend your days and nights Diligently applying yourself to the essential instructions of the aural lineage. Without becoming distracted for a moment by ordinary concerns.
Diligently apply yourself to the profound innermost meaning. Never transgressing the precepts of the shravakas, bodhisattvas and vidyadharas, With your own mind under control, help others in any way you can, And take whatever you experience onto the path to liberation.
As a beginner, it is most important that you secure your own well-being, Guarding your mind in solitude, abandoning distractions and busyness, Avoiding unfavourable situations, and subduing the mental afflictions with appropriate antidotes.
Ensuring that your view and conduct are in harmony, enthusiastically devote yourself to meditation. Whenever any of the ordinary five poisons arise, in that very moment, Catch them with mindfulness, and, without distraction, apply the antidotes. With conscientiousness, introspective vigilance, self-restraint and a sense of dignity, bring your own mind under control.
See the equality of praise and blame, approval and disapproval, good and bad reputation, For they are just like illusions or dreams and have no true existence. Learn to tolerate them as if they were mere echoes, And sever at its root the mind which clings to an ‘I’ or a self.
In short, by never transgressing the Dharma in all that you do, Bring your mind under control, do no harm to others, And without succumbing, even for an instant, to the mental afflictions.
Devote your days and nights to virtue—this is crucial! Nowadays, when people are so unruly, It is vital that you first achieve your own well-being in solitude. Just as a bird can not fly without both wings.
The welfare of others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higher faculties of perception,
So diligently strive for your own wellbeing, whilst mentally considering the welfare of others.
Without letting your mind be deceived by the devious maras of distraction and busyness, It is vital that you apply yourself to the practice— Do not cause yourself to suffer regrets at the time of death! Therefore, make your mind ready now, And consider this: Were you to die now, what would become of you? Without any assurance as to where you’d go or what might happen, [iii] To spend your days and nights in the grips of confusion and distraction, Is to squander and make meaningless the freedoms and advantages.
Meditate therefore on the essential meaning, alone and in solitude. For it is now that a long-term strategy is really needed. How can you be sure where you will go in future? You must diligently apply yourself this very day! These delusory appearances of samsara are like treacherous pathways. Keep this in mind: You must find the methods to free yourself.
For if you remain deluded now, you’ll wander in delusion forever. So arouse perseverance and keep this in your heart. The ocean of mental afflictions and the sea of self-grasping are difficult to cross.
But now that you have the vessel of the freedoms and endowments, use it to reach the distant shore! Now that you have gained this rare opportunity through the force of your merit—access to the path of liberation and enlightenment— Secure your own benefit and happiness by striving with heartfelt sincerity!
Life is impermanent and changes from one moment to the next, And we expertly deceive ourselves with distractions, postponing virtuous practice. When we have long become accustomed to delusion,
In each moment we’re naturally drawn into the mental afflictions, And even if we apply ourselves to merit and virtue, We find they do not easily arise. Strive, therefore, to avert the miseries brought about by your own actions! [iv]
There is not the slightest joy to be found within the states of samsara. The sufferings of conditioned existence, if you think of them, are impossible to bear. Therefore apply yourself right now to the means of gaining freedom. If you do not earnestly devote yourself to the essential meaning,
The state of leisure and intermittent Dharma will bring no benefit.
So develop a strong sense of weariness for all that is impermanent, And, without being distracted even for an instant, generate enthusiasm for the practice!
If you realize this at the very outset, You will swiftly achieve the state of an Arya! Accomplishing your own welfare, the welfare of others will come naturally,
And you will find the supreme path of liberation from the states of samsara.
When everything that you do is in accordance with the Dharma, Then you are one who has the basi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This concludes the second section, being an explanation of the individual practitioner who cultivates samadhi, from Finding Comfort and Ease in the Meditation of the Great Perfection.
You must be saddened and wearied by samsara, and strive for freedom. Renouncing the concerns of this life and seeking eventual enlightenment.
You must leave distractions and busyness far behind, and have few mental afflictions, Be easy-going and tolerant, and have pure perception and great devotion, As well as stability of mind[i] and deep respect towards the teachings— [Practitioners such as this will accomplish the most supreme liberation!][ii] You must serve, in the best possible way, a noble teacher, And purify your mind through study, reflection and meditation.
In particular, you should spend your days and nights Diligently applying yourself to the essential instructions of the aural lineage. Without becoming distracted for a moment by ordinary concerns.
Diligently apply yourself to the profound innermost meaning. Never transgressing the precepts of the shravakas, bodhisattvas and vidyadharas, With your own mind under control, help others in any way you can, And take whatever you experience onto the path to liberation.
As a beginner, it is most important that you secure your own well-being, Guarding your mind in solitude, abandoning distractions and busyness, Avoiding unfavourable situations, and subduing the mental afflictions with appropriate antidotes.
Ensuring that your view and conduct are in harmony, enthusiastically devote yourself to meditation. Whenever any of the ordinary five poisons arise, in that very moment, Catch them with mindfulness, and, without distraction, apply the antidotes. With conscientiousness, introspective vigilance, self-restraint and a sense of dignity, bring your own mind under control.
See the equality of praise and blame, approval and disapproval, good and bad reputation, For they are just like illusions or dreams and have no true existence. Learn to tolerate them as if they were mere echoes, And sever at its root the mind which clings to an ‘I’ or a self.
In short, by never transgressing the Dharma in all that you do, Bring your mind under control, do no harm to others, And without succumbing, even for an instant, to the mental afflictions.
Devote your days and nights to virtue—this is crucial! Nowadays, when people are so unruly, It is vital that you first achieve your own well-being in solitude. Just as a bird can not fly without both wings.
The welfare of others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the higher faculties of perception,
So diligently strive for your own wellbeing, whilst mentally considering the welfare of others.
Without letting your mind be deceived by the devious maras of distraction and busyness, It is vital that you apply yourself to the practice— Do not cause yourself to suffer regrets at the time of death! Therefore, make your mind ready now, And consider this: Were you to die now, what would become of you? Without any assurance as to where you’d go or what might happen, [iii] To spend your days and nights in the grips of confusion and distraction, Is to squander and make meaningless the freedoms and advantages.
Meditate therefore on the essential meaning, alone and in solitude. For it is now that a long-term strategy is really needed. How can you be sure where you will go in future? You must diligently apply yourself this very day! These delusory appearances of samsara are like treacherous pathways. Keep this in mind: You must find the methods to free yourself.
For if you remain deluded now, you’ll wander in delusion forever. So arouse perseverance and keep this in your heart. The ocean of mental afflictions and the sea of self-grasping are difficult to cross.
But now that you have the vessel of the freedoms and endowments, use it to reach the distant shore! Now that you have gained this rare opportunity through the force of your merit—access to the path of liberation and enlightenment— Secure your own benefit and happiness by striving with heartfelt sincerity!
Life is impermanent and changes from one moment to the next, And we expertly deceive ourselves with distractions, postponing virtuous practice. When we have long become accustomed to delusion,
In each moment we’re naturally drawn into the mental afflictions, And even if we apply ourselves to merit and virtue, We find they do not easily arise. Strive, therefore, to avert the miseries brought about by your own actions! [iv]
There is not the slightest joy to be found within the states of samsara. The sufferings of conditioned existence, if you think of them, are impossible to bear. Therefore apply yourself right now to the means of gaining freedom. If you do not earnestly devote yourself to the essential meaning,
The state of leisure and intermittent Dharma will bring no benefit.
So develop a strong sense of weariness for all that is impermanent, And, without being distracted even for an instant, generate enthusiasm for the practice!
If you realize this at the very outset, You will swiftly achieve the state of an Arya! Accomplishing your own welfare, the welfare of others will come naturally,
And you will find the supreme path of liberation from the states of samsara.
When everything that you do is in accordance with the Dharma, Then you are one who has the basi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This concludes the second section, being an explanation of the individual practitioner who cultivates samadhi, from Finding Comfort and Ease in the Meditation of the Great Perfection.
[i] As H.V. Guenther noted, the word bstan meaning teachings appears in the root text and also when the root text is given in the auto-commentary, but in commenting on this line, Longchenpa uses the wordbrtan meaning firm or stable. I have tried to incorporate both senses into the translation.
[ii] This line appears in the auto-commentary, The Pure Chariot (shing rta rnam dag), but not in the root text.
[iii] gtad so. The commentary spells this as brten so. I am taking it to mean assurance, reliability.
[iv] Root text has las kyi gdung shugs. Commentary has las kyi rlung shugs.
[ii] This line appears in the auto-commentary, The Pure Chariot (shing rta rnam dag), but not in the root text.
[iii] gtad so. The commentary spells this as brten so. I am taking it to mean assurance, reliability.
[iv] Root text has las kyi gdung shugs. Commentary has las kyi rlung shugs.
Filed under: Dharma Teachings, Uncategorized Tagged: Buddhism, Dharma, Dzogchen, Longchen Rabjam, Longchenpa, Meditation, Nyingma
July 30, 2012
오대보장(五大寶藏)
오대보장 속에 무엇이 있는지 궁금한 분들이 계십니다.....
저 역시 그것이 궁금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열어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저 상상으로만..
판도라의 상자이거나...
요술램프의 지니이거나....
릭빠의 홀로그램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해봅니다..
우리는 제대로 본적도 없는 전지보장 몇권가지고..오대보장을 이야기하지만...
닻을 올리고 앞으로 나아가는 순간...
크게 덮쳐오는 릭빠의 파도를 보고...기겁할지도 모릅니다...
모든면에서...우리의 작은 지성으로는 감당이 안되는 망망대해를 보고..
깊은 좌절감에 휩싸이고 말지도 모릅니다...
나는 역할을 정하고 그 역할에 충실합니다...
나는 뭔가 말하는 척하고...
여러분은 뭔가 듣는 척해주면 됩니다...
약속되어있는 대본을 하나씩 들고 말입니다...
자 이제 대본을 폅시다....
자신의 역할로 돌아가 주시고~~
스텐 바이...큐~~~
스텐 바이...큐~~~
오대보장은...다섯가지 주제로 엮인...100권이 넘는 대작이라 합니다...
그러나..잠괸 꽁뛸은 처음부터 대작을 쓰려든 게 아니었습니다...다만...~ㅇ외덴 뗀빠 랍게라 하는 제자가 하도 조르는 바람에...
계에 관한 책 한권 써 줄라다가 그리되고 말았다 합니다..
운명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세가지 계율에 관한 책을 써달라고 했답니다...
소승의 바라제목차 계... 대승의 보살계... 금강승의 싸마야 계율에 대해서 말이죠...
쓰다 보니...생각이 자라납니다...
``기왕이면...3승에 있는..모든 붓다 다르마와 그 차제를 논해보자...``
다 쓰고나니...스승님께 보여주고 싶어집니다... 그게 예의이기도 하고...
그래서 얼른 달려가...잠양 켄쩨 왕뽀 앞에 두 손으로 바쳐 올립니다...
``잘 썼는가 좀 봐 주세요~~!!``
스승은...바로 내지릅니다...
``전지보장은 오대보장 중의 첫 번째가 되리라...``
잠괸 꽁뛸은 눈이 똥그래집니다...
``으이~~? 다...다...다섯개나 쓰라고욧~?
근데 전지보장 마저... 써가지고 보여준 게 전부가 아니었습니다...
잠양 켄쩨 왕뽀님은..잠괸 꽁뛸님에게 바로 추가 압박 들어갑니다..
``어이~~ 기왕 쓴 거 주석도 달아 봐~~!!``
``주...주석을 요~~?...이 거 쓰는데도 쓰러질 뻔 했습니다요~~!!`
그래서 처음 쓴 거에다... `지식의 대해`라는 주석을 포함시킵니다...
그게 지금의 `전지보장(全知寶藏)`입니다...
현재...오대보장 중에서 영어번역이 되어있는 것은 `전지보장(全知寶藏)`뿐입니다..
린첸 떼르죄 같은 경우는 관련 서적이 있긴 합니다...
오대보장...하나 하나가..아직 바람직한 이름이 없습니다...
아름다운 한글 이름을 지어주세요..
1, 전지보장(全知寶藏--셰자 꾼꺕 죄)..
성문, 연각에서 시작하여 족첸에 이르기까지...
9부승 전체에서..
시작되는 바탕으로서의 견해....
나아갈 길로서의 수행방편..
궁극적인 열매로서의 성취....이 세가지 관점에서 얘기합니다...
앞에서 오대보장이 100권이 넘는다 했는데...
그 중에서 전지보장은 3권 혹은 4권에 해당되는 분량입니다...
그 중에서 전지보장은 3권 혹은 4권에 해당되는 분량입니다...
전체 비중에서 보면 아주 작은 부분일 뿐입니다..
이 보장에 대한 관정과 구전을 위한 법회에 관심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은...전지보장의 구성을 보여줍니다..
파란색으로 표시한 것은 영어번역본으로 나와있는 것이고...
@표시의 굵은 글씨로 되어있는 것이 각 책의 영역본 제목입니다...
전대...깔루 린포체의 뜻에 따라...영어권에 역경이 되기 시작했고..
거의 마쳐가고 있습니다...
거의 마쳐가고 있습니다...
내용상으로는 10권으로 분류되지만... 영문번역에는 몇권이 될지 아직 알 수 없습니다...
12권에서 13권이 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번역된 것은 모두 여덟권이며...절반가량이 2010년 한 해에 만들어졌습니다...
아직...제 6권 1,2부...제 7권.. 8권 1,2부가 안 나온 상태입니다...
@
Book One: Myriad Worlds (Snow Lion, 2003.)
@
Buddhism’s Journey to Tibet (2권 3권 4권이 하나의 제목으로 묶임)
Book Two: The Advent of the Buddha (Snow Lion, 2010)
Part One: The Teacher’s Path to Awakening
Part Two: The Buddha’s Enlightenment
Part Three: The Buddha’s Twelve Deeds
Part Four: Enlightenment’s Bodies and Realms
Book Three: The Buddha’s Doctrine—The Sacred Teachings (Snow Lion, 2010)
Part One: What Are the Sacred Teachings?
Part Two: Cycles of Scriptural Transmission
Part Three: Compilations of the Buddha’s Word
Part Four: Origins of the Original Translations’ Ancient Tradition (Nyingma)
Book Four: Buddhism’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now Lion, 2010)
Part One: Buddhism’s Spread in India
Part Two: How Buddhist Monastic Discipline and Philosophy Came to Tibet
Part Three: Tibet’s Eight Vehicles of Tantric Meditation Practice
Part Four: The Origins of Buddhist Culture
@
Book Five: Buddhist Ethics (Snow Lion, 2003.)
Book Six: The Topics for Study
Part One: A Presentation of the Common Fields of Knowledge and Worldly Paths
Part Two: The General Topics of Knowledge in the Hinayana and Mahayana
@
Part Three: Frameworks of Buddhist Philosophy (Snow Lion, 2007.)
@
Part Four: Systems of Buddhist Tantra (Snow Lion, 2005.)
Book Seven: The Training in Higher Wisdom
Part One: Gaining Certainty about the Keys to Understanding
Part Two: Gaining Certainty about the Provisional and Definitive Meanings in the Three Turnings of the Wheel of Dharma, the Two Truths and Dependent Arising
Part Three: Gaining Certainty about the View
Part Four: Gaining Certainty about the Four Thoughts that Turn the Mind
Book Eight: The Training in Higher Meditative Absorption (Samadhi)
Part One, Two: Shamatha and Vipashyana; The Stages of Meditation in the Cause-Based Approaches
@
Part Three: The Elements of Tantric Practice (Snow Lion, 2008)
@
Part Four: Esoteric Instructions, A Detailed Presentation of the Process of Meditation in Vajrayana (Snow Lion, 2008. ISBN 1-55939-284-3)
@
Journey and Goal
Book Nine: An Analysis of the Paths and levels to Be Traversed
Part One: The Paths and Levels in the Cause-Based Dialectical Approach
Part Two: The Levels and Paths in the Vajrayana
Part Three: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Part Four: The Levels in the Three Yogas
Book Ten: An Analysis of the Consummate Fruition State (Journey and Goal, Oct. 2010)
Part One: The Fruition in the Dialectical Approach
Part Two: The More Common Attainment in the Vajrayana
Part Three: The Fruition in the Vajrayana
Part Four: The Fruition State in the Nyingma School
2, 구결보장(口訣寶藏--담~ㅇ악 죄..)
8대 수행법통의 중요한 관정과 구전의 핵심이 담긴 보장입니다...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니...전지보장보다 훨씬 부피가 큽니다...
잠괸 꽁뛸 로되 타예님은
각 전승의 가르침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가르침만을 여기에 모읍니다...
그가 여기에서..8대 수행 법통의 가르침을 거론하는 것은
각 전승의 가르침을...개별적으로 나열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그의 의도에는 아주 색다른 맥락이 있습니다...
각 전승의 가르침을...개별적으로 나열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그의 의도에는 아주 색다른 맥락이 있습니다...
그는 각 전승이 가지고 있는 가르침을...하나의 큰 틀에서 재배열합니다..
그리고...그 조각의 전체가 가리키는 큰 그림을 보여주려 합니다..
그리고...그 조각의 전체가 가리키는 큰 그림을 보여주려 합니다..
아주 기발함이 여기에 존재합니다.
각 전승의 핵심이 무엇인지..나타나는 순서가 어떠한지를 보세요....
까담은 보리심 일으키는 부분에 특징이 있다고 보고 가장 먼저 등장시킵니다...
닝마는...족첸의 특서에 따라.. 맨 마지막에 등장시키고 있습니다..
--까담의 로종
--싸꺄의 람데
--마르빠 까귀의 마하무드라
--샹빠 까귀의 니구마 6법
--시제의 최
--조낭의 깔라차끄라
--오르겐 녠둡
--닝마의 족첸
이 `담~ㅇ악죄` 관정은 3개월 정도 걸린답니다..
3, 구전진언보장(口傳眞言寶藏--까귀 ~ㅇ악 죄)
총 8권으로 구성되어있다고 합니다...
구전진언보장(口傳眞言寶藏)에는 두 가지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닝마의 구전 가르침인 까마.... 마르빠 까귀의 구전 가르침..
이 두가지 가르침이 존재한다면...
여기서의 까귀란..구전(口傳)...구이전승(口耳傳承)을 의미하는 것이고..
까마 또한 구전에 의한 전승을 의미하는 것이니...
`까귀~ㅇ악죄`에서의 `까귀`는..구전을 의미하는 것이며
닝마의 까마 혹은 다른 구전 가르침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러나..현실적으로는 마르빠 까귀만을 다루는 보장으로 통하는 것 같습니다...
까귀 ~ㅇ악죄(bka` brgyud sngags mdzod)에서 까귀(bka` brgyud)는...
구이전승을 뜻하는 게 분명한데도 말입니다..
마르빠 까귀만을 단독으로 다루는 보장이었다면...
대수인의 두 전승을 의미하는 까귀(dka` brgyud)로 했어야 했습니다...
닝마에는 까마와 떼르마라는 두가지 세계가 나란히 공존합니다...
그 차별성 때문에...의미상으로...세번째 보장과 네번째 보장이 존재한다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구전진언보장(口傳眞言寶藏)의 키워드는 까마 혹은 까귀(구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네번째 보장인 대보복장(大寶伏藏)의 키워드는 떼르마입니다...
구전진언보장(口傳眞言寶藏)에 등장하는 닝마 까마는...
시리빠다(부처님의 발자욱)라는 산 정상에서...
금강수께서 인간 비인간의 수승한 존재들에게 전하였다는 법입니다...
마하요가의 까게 가르침에 관한 부분입니다...
구전진언보장에서 말하는 마르빠 까귀의 구전가르침의 핵심은
마르빠가 ~ㅇ옥 최꾸 도르제에게 전한 광의(廣意)의 가르침..13무상유가딴뜨라입니다..
다른 모든 가르침과 마찬가지로...
마르빠의 가르침에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광의(廣意)의 가르침...심의(心意)의 가르침...
광의란...이성에 호소하여..섬세하고 자세하게 풀어가는 것을 말하고...
심의란...직관적이며 직설적으로 핵심적인 요지를 관통하는 것입니다..
모든 대승의 다르마가 광의와 심의로 갈라지는 것처럼...
닝틱에도 이 두가지 접근방식이 적용됩니다...
비말라미뜨라께서 전하셨다는 비마닝틱은.. 하나의 광의(廣意)로서...
매우 논리적이고 지성적인 인간에게 어울리는 방식이라 하였고...
빠드마삼바바께서 전하셨다는 칸도닝틱은..하나의 심의(心意)로서..
직관적인 깨침으로 도약해가는 자들에게 어울린다고 하였듯이 말입니다...
마르빠의 네 기둥으로 불리는 네 명의 큰 제자들을 기억하실 겁니다...
마르빠는 두 가르침을 따로 내립니다...
광의(廣意)에 해당하는 것은 ~ㅇ옥 최꾸 도르제에게...
심의(心意)에 해당되는 것은 주로 밀라레빠에게 전했다고 합니다.....
밀라레빠에게 전한 광의(廣意)의 가르침이 하나 있는데...
`짜끄라쌈와라 딴뜨라`라고 합니다...
감뽀빠에게도 그것만이 전해졌고...
그로부터 갈라진 법맥에도...광의는 `짜끄라삼와라` 하나 뿐이었습니다...
균형이란 측면에서는 절름발이가 되고 맙니다...
잠괸 꽁뛸님은...~ㅇ옥 최꾸 도르제의 광의 가르침을 모아서 여기에 집결시킵니다...
그로인해... 처음으로 마르빠 까귀 구전의 광의와 심의를 균형잡습니다...
19세기에 시도된 새로운 노력의 산물..구전진언보장의 의의는 여기에 있다할 것입니다..
4, 대보복장(大寶伏藏--린첸 떼르 죄)
이 것은...가장 중요한 역대 108보장을 한 곳에 모은 것입니다..
세 사람...잠괸 꽁뛸..잠양 켄쩨..촉규르 링빠의 30년 노력의 산물입니다...
그 원천은 빠드마삼바바...비말라미뜨라..베로짜나 세 사람에게 있습니다...
대보복장은...오대법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주 방대한 보장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책의 개념으로..110권이 넘는다 합니다...
한권이..500~600페이지 정도이니....6만 페이지는 되지 않을까요..?
이 안에는...900개에 가까운 관정이 들어있다 합니다...
잠괸 꽁뛸은...이 900개의 퍼즐조각을 재구성하였습니다.....
마하..아누..아띠요가의 큰 테마로 나누고...가르침의 차제에 따라 배열하였습니다..
대보복장의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아무리 귀하더라도..흩어진 떼르마들은..재료에 불과합니다..
빠드마삼바바께서는 모든 가르침을 떼르마로 흩어지게 했으니...
한 곳에 모아 맞추지 않는 이상..그 퍼즐조각 전체가 의미하는 큰 그림을 볼 수 없겠죠..
담~ㅇ악죄도 재구성에 묘미가 있다 했습니다..
8대 수행법통의 수행을 통일된 하나의 장으로 묶어버리니까요...
이 것은...붓다다르마의 세계에서 나가르쥬나..아쌍가께서 하신 일과 비교가 됩니다...
중복을 피하고...의미의 코드를 부여하고.. 상대적인 절대적인 두 진리로 나누고...
차제에 따라 재구성한 일 말입니다..
딜고 켄쩨 린포체께서..보존을 위해..티벳본을 63권으로 묶어 발행했으나..
아직 다른 언어로 번역된 적은 없습니다.....엄두를 내기 어렵겠죠...
린첸 떼르죄의 속성상..일반 출판물로 나올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관련 서적들은 몇권 있습니다...
대보복장의 관정은 그 기회를 얻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기간도..짧게는 3개월...길게는 6개월이 소요되는 대관정입니다...
어느곳에서든 이 기회가 생기거든...주저없이 발을 옮기는 행운을 차지하시기 바랍니다..
세 사람...잠괸 꽁뛸..잠양 켄쩨..촉규르 링빠의 30년 노력의 산물입니다...
그 원천은 빠드마삼바바...비말라미뜨라..베로짜나 세 사람에게 있습니다...
대보복장은...오대법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주 방대한 보장입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책의 개념으로..110권이 넘는다 합니다...
한권이..500~600페이지 정도이니....6만 페이지는 되지 않을까요..?
이 안에는...900개에 가까운 관정이 들어있다 합니다...
잠괸 꽁뛸은...이 900개의 퍼즐조각을 재구성하였습니다.....
마하..아누..아띠요가의 큰 테마로 나누고...가르침의 차제에 따라 배열하였습니다..
대보복장의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아무리 귀하더라도..흩어진 떼르마들은..재료에 불과합니다..
빠드마삼바바께서는 모든 가르침을 떼르마로 흩어지게 했으니...
한 곳에 모아 맞추지 않는 이상..그 퍼즐조각 전체가 의미하는 큰 그림을 볼 수 없겠죠..
담~ㅇ악죄도 재구성에 묘미가 있다 했습니다..
8대 수행법통의 수행을 통일된 하나의 장으로 묶어버리니까요...
이 것은...붓다다르마의 세계에서 나가르쥬나..아쌍가께서 하신 일과 비교가 됩니다...
중복을 피하고...의미의 코드를 부여하고.. 상대적인 절대적인 두 진리로 나누고...
차제에 따라 재구성한 일 말입니다..
딜고 켄쩨 린포체께서..보존을 위해..티벳본을 63권으로 묶어 발행했으나..
아직 다른 언어로 번역된 적은 없습니다.....엄두를 내기 어렵겠죠...
린첸 떼르죄의 속성상..일반 출판물로 나올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관련 서적들은 몇권 있습니다...
대보복장의 관정은 그 기회를 얻기 쉽지 않을 것입니다...
기간도..짧게는 3개월...길게는 6개월이 소요되는 대관정입니다...
어느곳에서든 이 기회가 생기거든...주저없이 발을 옮기는 행운을 차지하시기 바랍니다..
5,
(1)--투몽 마잉빠 죄
이름... 생략합니다..
다른 것과 같지 않은 떼르마의 별책과 같은 개념인데..표현하기가 좀 거시기합니다..
이것은 잠괸 꽁뛸 로되 타예님의 개인적인 떼르마를 모은 것입니다...
그 역시도 떼르뙨이었으니까요...
(1)--투몽 마잉빠 죄
이름... 생략합니다..
다른 것과 같지 않은 떼르마의 별책과 같은 개념인데..표현하기가 좀 거시기합니다..
이것은 잠괸 꽁뛸 로되 타예님의 개인적인 떼르마를 모은 것입니다...
그 역시도 떼르뙨이었으니까요...
(2)--갸첸 까 죄
다른 부수적인 내용들이 여기에 다 모여있습니다...
말하자면..천문.. 지리..의술..기도..산문..과 같은 것들입니다...
다른 부수적인 내용들이 여기에 다 모여있습니다...
말하자면..천문.. 지리..의술..기도..산문..과 같은 것들입니다...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