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24, 2011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탄생시킨 HiWel P2P 교육방식

슬럼독 밀리어네어를 탄생시킨 HiWel P2P 교육방식: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Picture by zsoolt from Flickr

슬럼독 밀리어네어가 대단한 성공을 거두면서 여러가지 뒷 이야기를 낳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영화의 실제 배경이 된 HiWEL(Hole-in-the-Wall Education Ltd.) 교육 방식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영화의 대성공으로 이 프로젝트에도 보다 많은 관심들을 가졌으면 하는데, 의외로 국내에서는 거의 이슈화가 되지 않았네요. 이 프로젝트의 기원은 뉴델리에 위치한 소프트웨어 제조업체이면서 동시에 컴퓨터 교육기관으로 유명한 나이가타 공과대학(NIIT)의 물리학자인 수가타 미트라(Sugata Mitra)의 실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99년 슬럼가에 인접한 사르보다야 캠프에 터치패드와 초고속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가 돌담에 설치를 되었습니다. 돌담에 구멍을 파서 설치를 함으로써 뜯어낼 수 없도록 하고, 아무런 지시사항이나 매뉴얼 하나 없는 컴퓨터가 갑자기 나타난 것이죠. 이 프로젝트는 돌담에 구멍을 뚫어 컴퓨터를 설치했다 하여 "Hole-in-the-wall"이라고 명명되었습니다. 주변에 살던 10대의 소년들은 이 컴퓨터를 가지고 놀기 시작했습니다. 컴퓨터를 설치한 지 이틀 만에 아이들은 파일과 폴더를 만들고, 관리하는 방법, 그리고 인터넷 검색을 모두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이들끼리 서로서로의 노우하우를 주고 받으면서 배우게 된 것입니다.

3개월이 지나자, 이들은 1,000개가 넘는 폴더를 만들었고 디즈니의 만화를 포함한 재미있는 컨텐츠를 찾아내서 공유하기 시작했으며, 인터넷 게임과 페이터 등을 이용한 컴퓨터 그래픽, 그리고 자신들이 좋아하는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였습니다. 처음에는 한 두명이 터득한 방법은 얼마 지나지 않아 모두에게 전파되었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호기심과 학습능력을 이용하는 것 만으로 그 어떤 방법의 중앙집중적 대량생산 학교 교육보다도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일대 사건이었습니다.

수가타 미트라 박사는 이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슷한 형태의 컴퓨터가 인도의 다른 지역인 쉬브푸리와 마단투시에도 설치가 되었습니다. 결과는 동일했습니다. 미트라 박사는 이런 방식의 새로운 학습을 최소침습학습(Minimally Invasive Education)이라고 명명하고 전세계의 못사는 나라 아이들의 컴퓨터 교육을 같은 방식으로 할 수 있도록 IFC(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과 손을 잡고 HiWEL(Hole-in-the-Wall Education Ltd.)라는 회사를 설립합니다. 그로부터 현재까지 30개가 넘는 HiWEL 클러스터들 및 학습센터가 인도와 인도 바깥의 여러 나라에 만들어졌습니다. 모든 곳에서의 학습효과와 결과는 놀라울 정도로 성공적이었습니다. 아래 비디오는 이러한 엄청난 성공을 바탕으로 수가타 미트라 박사가 2007년 LIFT 미팅에서 발표한 동영상입니다.

이와 맥이 닿아있는 프로젝트가 지난 번 포스팅에서 소개한 MIT의 CBA(The Center for Bits and Atoms)를 이끌고 있는 네일 거쉰펠드(Neil Gershenfeld) 교수가 주도하는 Fab Labs 입니다.

연관글: 2009/04/20 - 책상위 공장, 개인용 패브리케이터 시대가 열린다.

Fab Labs 프로젝트에서는 어떤 형태의 물건이든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자재를 $5만 달러 정도에 갖춘 실험실을 인도의 가장 시골 도시 중의 하나인 Boston과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고 북극에 가장 가까운 노르웨이에 갖추어 놓고, 기계와 소프트웨어 사용방법 등에 대한 교재 및 비디오를 만들어 배포를 했습니다. 실험실에는 전기가 필요하므로 자가발전이 가능하도록 태양열 발전이나 풍력발전에 필요한 터빈(turbines)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그리고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가 설치되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험실에 주변에 살던 청소년들이 몰려와서 직접 공부를 하고 재료를 들고 와서 만들고 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물건들을 직접 생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암기 위주의 교육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연결되어 있는 전세계를 이해하고, 동시에 이를 잘 다룰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이 더욱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의 변화가 더욱 빨라지게 되겠지요. 그렇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믿어왔던 전통적인 학교에서의 교육 방식이 과연 옳은 것일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번에 따로 포스팅을 준비할 예정이니, 오늘의 글은 이 정도로 마칠까 합니다.

참고로 Hole-in-the-wall 프로젝트와 Fab Labs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아래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더욱 풍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Hole-in-the-wall 프로젝트 홈페이지

Fabs Labs 프로젝트 홈페이지


저작자 표시
비영리

No comments:

Post a Comment